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60

용어알기(8): Telecoil<텔레코일> 보청기를 사용하면서 가장 큰 불편함 중에 하나가 전화통화 입니다. 잘 알아듣느냐, 잘 못알아 듣느냐는 둘째 치더라도 일단 수화기를 보청기에 가까이 가져가게 되면, "~삑" 하는 소리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는 보청기의 마이크로폰을 전화기 수화기가 가로막으면서 발생하는 하울링(피드백) 현상입니다. 사진 www.newgrounds.com 마치 노래방에 갔을 때 마이크 잡고 노래부르다가 스피커로 마이크를 향했을 때 발생하는 것과 동일한 현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전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하울링 현상이 해결되어야 하겠지요. 이를 위한 장치가 텔레코일입니다. Telecoil: An induction coil in a hearing aid which picks up the electromagneti.. 2010. 5. 21.
용어알기(7) Noise management <소음관리> trail by toughkidcst Noise management: Strategies that adapt the hearing aid gain to ensure the environment is comfortable for the listener. ☞ 최근의 디지털 보청기들은 제조사를 막론하고 소음 관리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보청기 사용자의 가장 큰 불만 가운데 하나인 소음을 최대한 줄이고 편안한 청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소음 관리의 정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착용자의 사용장소에 맞게 보청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전략인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품별 특징이나 다른 공간을 할애하여 소개해 올리겠습니다. 2010. 5. 21.
용어알기(6): Dynamic Range <역동범위> マイキーボード 내 키보드 by SHIBATA Dynamic range: The difference in dB between the threshold of hearing and the loudness discomfort level. 역동범위(DR)는 역치(threshold)와 불쾌역치(UCL)의 범위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범위를 말합니다. 따라서 순음(puretone)으로 검사할 경우 주파수별 역동범위를 얻을 수 있으며, 어음(speech)으로 검사하는 경우 전체적인 역동범위를 얻을 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정상인이 갖고 있는 역동범위보다 난청이 갖는 역동범위가 훨씬 좁겠지요?! 또한 난청의 유형별로도 그 범위가 다릅니다. 예를들면, 전음성 난청의 역동범위, 감각신경성 난청의 역동범위 그리고 혼합성 난청.. 2010. 5. 21.
용어알기(5): Release Time <압축이 풀어지는 시간> golden waves - olas doradas by Xavier Fargas Release time: The time period needed for the gain to return to the pre-compression level once the signal drops below the compression threshold. 압축이 풀어지는 시간(Release time)의 정의는 입력신호에 의해 압축 지점(역치)이하로 떨어졌던 상태에서 이전 설정된 압축 상태의 이득(gain)으로 되돌아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앞 시간에는 압축이 들어가는 시간(attack time)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실제 보청기에서는 압축이 풀어지는 시간 (release time)과 함께 적용됩니다. 이를 풀어서 .. 2010. 5. 21.
용어알기(4): Attack time <압축이 들어가는 시간> vague mimizan plage!!!!! by hakahonu Attack Time: For a given hearing aid, the time between the onset of a signal exceeding the compression threshold and the reduction of gain. 정의를 먼저 살펴보면, 압축역치(지점)을 초과하는 신호의 개시 시점과 이득 감소가 발생되는 사이 시간을 의미합니다. 무슨말인지 어렵지요? 이런 상황이라 가정해 보겠습니다. 압축시간이 1.2ms / 압축 지점(역치) 50dB / 이득 20dB 인 경우를 가정하면... 보청기 마이크로폰에 51dB 소리가 입력되면 압축이 들어가게 되죠.(50dB 이하인 경우에는 압축이 걸리지가 않겠죠?) 이미 설정.. 2010. 5. 21.
용어알기(3): Omni dircetional microphone <전방향성 마이크로폰> Omni directional microphone: A microphone which picks up sound from all directions. 전방향성 마이크로폰은 360도 전체로부터 들어오게 되는 모든 소리를 받아들이는 마이크로폰의 한 종류입니다. 그럼, 방향성 마이크로폰과 전방향성 마이크로폰의 차이를 시가적으로 쉽게 보여 드리겠습니다. 전방향성 마이크로폰의 경우, 좌측의 그림을 보시면 커피 잔을 들고 있는 남자는 정면의 사람과 대화를 하지만 사실은 측면, 후면의 소리가 전부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것이지요. 그러나 방향성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경우, 커피 잔을 들고 있는 남자는 측면 / 후면 보다는 정면의 사람과 대화를 하기가 훨씬 수월해 집니다. 그림으로 보니까 이해가 훨씬 쉽지 않습니까? 2010. 5. 21.
용어알기(2): Directional microphone <방향성 마이크로폰> Directional microphone: A microphone which is more sensitive to sound approaching from the front. Directional microphones can assist with listening in noise. 방향성 마이크로폰은 정면으로 부터 들어오는 소리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마이크로폰의 한 종류입니다. 방향성 마이크로폰은 소음이 있는 상황에서 청취력을 향상 시켜줄 수 있습니다. 2010. 5. 21.
용어알기(1): Signal to Nosie Ratio (SNR, S/N) <신호대 잡음비> Signal to Nosie Ratio (SNR, S/N)는 청각학 사전에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The level of a signal in relation to the level of noise. For example, a S/N of +5 means that the signal is 5 dB louder than the noise. 소음의 크기와 관련한 신호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S/N 값이 +5라면, 이는 소음(noise)보다 신호(signal)의 크기가 5dB 더 큰 상황임을 의미합니다. 우리말로 하자면, 신호대 잡음비 라고 합니다. 통상적으로 청각학이나 보청기 관련해서 '소음'은 noise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합니다. 내가 듣고자 하는 말소리는 '신호'라하며, 영어로는 signal.. 2010. 5. 21.
압축이 들어가는 보청기 조절법: Non-linear Fitting Formula 뽀개기(2) Photo andrew76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 시간까지 보청기 선형증폭 방식과 압축 증폭 방식을 마무리 함으로써 기본 개념을 정리하겠습니다. 오늘은 소리에 압축을 적용하는 피팅 포뮬러인 Non-linear Fitting 방식(또는 compression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보청기가 WDRC 방식이 지원되는 디지털 보청기어야 하며, 증폭하고자 하는 목표 값(target)을 맞추기 위해 타겟을 설정합니다. ☞ 입력되는 한 개의 소리가 아닌 세 가지 입력음(50, 70, 90dB)에 대해 각각 별도로 증폭을 합니다. ☞ 따라서 각각의 입력음에 대해서 각각의 이득값을 처방하게 됩니다. ☞ 압축 지점(Compression Kneepoint)과 압축 비율(Compression Ratio)을 적용.. 2010. 5. 21.
압축이 들어가지 않는 보청기 조절법: Linear Fitting Formula 뽀개기(1) Photo ullllsu 디지털 보청기를 다루면서 압축에 대한 개념은 필수입니다. 오늘은 과거의 아날로그 보청기 방식과 유사한 Linear Fiting Formula (선형보청기 증폭방식)에 대해서 확~! 뽀개서 쉽게 이해시켜드리겠습니다. ☞ "일반 대화음에 해당 되는 소리크기(average speech spectrum)는 크게, 그러나 너무 큰것이아니라 편안하게" 입니다. ☞ 처방 이득(Gain)은 보청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모든 소리에 대해서 전체 주파수에 동일하게 고정된 이득 값을 갖습니다. -> 소리를 눌러주는(압축) 기능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원음이 날카로운 소리 특성을 갖는다면 보청기 착용 후에도 날카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 증폭이 되는 기준(base target)은 입력되는 한가지.. 2010. 5. 21.
스타키 사의 피팅 포뮬러(Fitting Formula)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Rainbow brush pattern by I LOVE PATTERN 디지털 보청기를 고객/환자에게 피팅하는 경우, 소프트웨어(피팅 프로그램)사용은 필수적이죠. 보청기를 연결하고 적절한 피팅 포뮬러를 선택해서 마우스로 원클릭 하면 환자/고객의 청력에 맞는 보청기의 증폭량이 완성되는데 과연 무엇을 기준으로 이렇게 편리하게 피팅을 할 수 있는걸까? 오늘은 피팅 포뮬러 제작시 고려되는 요소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 합니다. 모든 보청기 제조사가 그렇진 않구요. 제가 스타키 사에 있다보니 드리는 말씀입니다. 이런 연구작업은 상당부분 R&D 파트에서 연구하는 부분입니다. 역시 백문이 불여일견!!. 그림으로 도식화해서 소개합니다. 영어로 된 자료인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Starkey Labs.의 경우 통상적으로.. 2010. 5. 21.
[유소아 보청기] 아동과 성인의 경우 보청기 피팅(소리조절) 방법이 다른가요? 오늘은 아동 환자의 보청기에 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보청기 착용 아동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인공와우를 이식하기 전 또는 난청을 생각보다 늦게 발견해서 보청기 착용을 시작하는 아동 등을 포함합니다. 아시겠지만 보청기라는거 한 번 착용하면 평생 사용해야 됩니다. 이러한 아동 환자를 위해 개발된 보청기 피팅 포뮬러(공식)가 따로 있습니다. 사진 www.mindfulmum.co.uk 포스팅 제목에 대한 답으로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다릅니다. 아동의 경우 학령기 전/후를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보청기 착용 상태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자신의 피드백(커뮤니케이션)이 어렵습니다. 아동 환자를 위해 특별하게 개발된 피팅 포뮬러를 DSL(Desired Senation Level)이라고 합니다. DSL은 다양한 피팅 포뮬러 중에.. 2010. 5. 21.
트위터(twitter)를 활용한 보청기 고객과 커뮤니케이션 하기 ☞ 세상이 아주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음을 실감하고 살아갑니다. 스마트폰의 출현과 더불어 아이폰의 보급율 그리고 이제는 트위터까지 어느덧 연령을 불문하고 급속도로 달라져 가는 세상에 나만 뒤쳐쳐 있지 않나 하는 마음도 생겨나곤 합니다. 보청기를 주 대상으로 사용하는 고객 층이 아무래도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이런 사회적인 분위기가 보청기를 사용하는 연령이 높은 층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하는 생각이 들 수 도 있겠습니다만 필자는 절대로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트위터의 파급 효과는 때로는 어마어마한 위력을 발휘합니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 당선에 트위터가 활용되었고 국내의 경우 급한 헌혈을 구하는 경우 트위터를 통해 아주 짧은 시간에 그 소식의 전파력이 상당함을 매스컴을 통해 접해 보셨을 겁니다. 그.. 2010. 5. 21.
벽걸이(LCD,PDP) TV 사용은 상담에 있어 강력한 어필이 되는 무기다. 보청기센터 그리고 난청 클리닉에서 청각전문가가 가장 중요하게 공을 들여하는 부분은 개인적인 생각으로 상담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상담에는 고객 또는 환자와의 첫 만남부터 사후관리까지 포함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청력검사 이전 단계부터 보청기 귓본채취, 모델& 가격선정 그리고 보청기 피팅 및 지속적인 조절(Follow Up) 까지 사실 전부가 포함되기에 그 중요성은 매우 높으며, 이에 맞는 상담툴 선정에 심혈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오늘은 여기에 아주 강력한 어필이 되는 벽걸이 TV 활용도를 소개하겠습니다. ☞ 사실 오늘 이 포스팅을 소개하는 이유는 그 동안 제 머리 속에 담겨져 있던 이상적인 상담 환경이 갖추어진 곳을 보고 왔기 때문입니다. 어디라고 밝힐 순 없지만, 그 곳에는 스타키 제품을 거래하.. 2010. 5. 21.
스타키 S시리즈 최고급 모델 S11, 대한민국 1%를 만나고 왔습니다. 오늘은 경기도에 소재한 A 보청기 센터를 다녀왔습니다. 지난주에 그 센터 대표님으로부터 전화가 왔었습니다. 스타키 S 시리즈 모델 중에서 가장 고가 제품(Flagship Product)을 양쪽(Binaural Hearing)으로 구입하신 고객이 있는데 저의 도움이 필요하다 하기에 센터 대표님의 요청으로 그 고객의 Follow Up Fitting을 의뢰 받았습니다. 개인적으론 과연 어떠 분이 양쪽으로 S11 모델을 구입하셨는지 궁금하기도 해서 시간을 내서 직접 피팅해 드리고 왔습니다. ☞ 제가 포스팅 제목에 "대한민국 1%" 라고 언급을 한 이유를 아마도 이 블로그를 읽고 계시는 업계 관계자는 알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스타키 하면 업계 1위이고, 플래그 쉽 모델(Flagship Model)이라면 해당 제.. 2010. 5. 21.
전화기와 보청기, 무조건 통해야 한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역시 법 입니다. 보청기와 전화기 관련된 자료를 찾다보니 어찌어찌 하다 미국 연방 통신위원회(FCC)까지 마우스가 가게 되었습니다. 미국의 경우 법으로 정해놓고 "보청기와 전화기는 통(?)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사실 전부터 이 법에 관련된 내용은 듣기는 하였지만 오늘에서야 나름 정리해 볼 마음이 들었습니다. 블로그하면서 생긴 병이라면 병이지요. 포스트 된 글을 보시는 분들은 참~좋으시겠만, 이 포스팅을 하는 저는 자료를 끝까지 읽어보고 확인하는 탓에 성격이 점차 집요해지고 쪼잔해지는거 같습니다. 안그래도 두꺼운 저의 목이 점차 거북이 목으로 변하고 있구요. 이러함에도 포스트가 완성된 후에는 그렇게 뿌듯할 수가 없다는 것... 이거 중독 맞나봅니다. ☞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 2010. 5. 21.
부적합한 보청기를 판매한 대리점은 아무런 문제가 없는가? ☞ 이번 식약청 보도와 관련하여 청각전문가의 존재의 필요성에 대해서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보청기 제조사에서 제품 출고 이후에 고객이나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이전에 다시 한번 성능이나 고객의 청력에 적합한지 필터링 역할을 해주는 전문가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청력검사 없이 개인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보청기를 구입한 다는 것은 소비자 개인의 취사 선택의 문제이기에 전문가 통제 밖의 일이라 생각하겠습니다. 그렇지만 버젓이 청력검사를 하고 귓본도 채취하고 그에 맞는 보청기를 제조사에 주문하고, 제작 되어 고객이 착용하기 까지는 충분한 시간이 있지요. 충분하게 성능을 점검할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Photo By http://www.4science.net/main.asp..._science 아무.. 2010. 5. 21.
잘 되는 보청기 대리점의 공통점 그림 http://kkd4139.tistory.com/327 글 Brian Song ☞ 어디를 가더라도 잘 되는 집은 다 이유가 있기 마련입니다. 하다 못해 점심 한끼를 먹으러 가더라도 이 집이 잘되는 집인지 아닌지는 식당 사람들의 손님맞는 말투나 자세 그리고 주변을 잠시만 둘러봐도 알 수 있습니다. 보청기 대리점 & 난청 클리닉 역시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보청기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고객이 처음 방문해서 잠시 동안 상담을 받아 보더라도 이 곳에서 보청기를 구매할지 말지 그 결정을 내리기에는 긴 시간이 필요치 않다는 말입니다. 하물며 비전문가도 알 수 있는 것을 전문가인 제 눈에는 어떻게 보여질까요? 거짓말 조금 보태서 국내에서 보청기를 판매하는 전국의 보청기 센터 & 난청 클리닉은 모조리.. 2010. 5. 21.
고객을 위한 올바른 호칭 사용법! ☞ 고객이라는 위치에 놓여져 있을 때, 여러분을 어떻게 불려주었을 때 가장 듣기에 좋으셨나요? 서로의 이름을 모르는 상황일 때, 특히 고객의 입장에 놓여져 있을 때 적절하지 못한 호칭 때문에 기분상해 하신적도 있을겁니다. 오늘은 보청기 센터 및 난청 클리닉에 내원하는 고객분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호칭 사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의 내용에서 발췌하였습니다. 보청기 센터 및 난청 센터에서의 올바른 호칭 사용법 이 호칭들은 병원에서 환자나 보호자를 호명할 때 사용하는 것이지만, 보청기 센터 및 난청 클리닉에서 사용되어도 좋을 것 같아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① ~ 님 업종이나 업태, 남녀노소, 고객유형에 관계없이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호칭이다. 고객의 나이가 어려도 이.. 2010. 5. 21.
보청기 고객은 아주 특별한 고객이다. Photo http://admiredcompany.kmac.co.kr...3D200902 Word Brian Song ☞ 세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고객이 있습니다. 오늘은 의료서비스를 받는 고객 중에서 아주 특별한 보청기 고객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이 포스팅은 이제 보청기 비지니스를 시작하신 분이거나 이비인후과 개원의에서 난청 클리닉을 운영하는 병원 관계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이 되실 겁니다. 제가 보청기 창업 관련해서 교육을 진행해 드릴 때 종종 언급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보청기 고객은 아주 특별합니다. 그 특별함에 대해서 일반고객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파랜색 블럭안에 들어있는 내용은 의 내용이며, 그 아래 검정색 본문은 그 내용을 보청기 비지니스에 접목시킨 필자의 생각입니다... 2010. 5. 21.
내 보청기 고객도 아닌데 뭘~!! Photo http://prday.tistory.com/entry/%...58B%25A4 Word Brians Song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자! 『 친절이라는 마법을 사용하면 환자(고객)의 마음을 내 것으로 만들수 있다. 그것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고객을 대할 때마다 '만약 내가 저 사람이라면?' 이라는 물음을 머릿속에 되뇌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친절은 자연스럽게 흘러나올 것이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진부하지만 이 말이 가진 진리의 빛은 아직도 유효하다. 』 중에서 보청기 업계의 특성에 대해서 소비자분들(고객및 가족분들)과 보청기 센터 & 난청 센터를 운영하는 분들을 위해 꼭 짚어 드리고 싶은 말이있습니다. 보청기를 구입한 후 관리를 받는 부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통상적으로 보청기를 구입한 곳에서.. 2010.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