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청기_상담테크닉229

보청기착용효과, 보청기 착용하게 되면 내가 어느 정도까지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시력이 나빠져서 안경을 맞추게 되더라도 우리가 쉽게 표현하는 2.0 시력까지는 안경 도수를 맞추어 주지는 않는다. 자신의 현재 시력을 기준으로 어지럽지 않고 잘보이는 정도(레벨)에서 안경 도수를 맞추어준다. 안경을 착용했을 때 수용할 수 있는 렌즈도수보다 살짝만 높아도 안경 착용 후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보청기를 통한 소리 조절(피팅)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접근한다. 그림 www.athenseyecare.net 우리의 감각기관은 신경이라는 전달 매개체를 통해서 뇌와 연결되어 있다. 시각에는 시신경, 청각에는 청신경이 뇌와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손상된 시각이나 청각을 보상해 줄 경우, 적정 자극(손실량 대비 보상해 주는 정도) 레벨 이상으로 높아지면 오히려 불편함이 유발된다. 시각은 어.. 2015. 3. 25.
안보이는 보청기, 스타키보청기 2015 사운드렌즈 V 실제 사이즈 (착용방법 동영상) 며칠전 포스팅에서 사운드렌즈V 에 대한 출시 안내를 설명드렸다. 오늘은 실제 착용한 내용을 중심으로 다루어보도록 하겠다. 안보이는 보청기 '사운드렌즈' 는 가장 첫 번째 조건이 우선 귓속 모형의 면적이다. 보이지 않을 정도로 완벽하게 제작이 되기에는 조금 부족한 귀 모형 형태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이번에 새로 출시된 사운드렌즈 V가 조금더 효과를 볼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다. 기존의 마이크 위치마져 없애버렸기 때문에 메리트가 있다는 것이다. 아래 사진은 사운드렌즈보다는 한단계 큰 사이즈로서, 일반적으로 많이 착용하시는 고막형(CIC) 제품 크기에 대한 이미지컷이다.손으로 잡고 있는 보청기의 중앙 상단 부위에 작은 구멍이 있는데 이 부분이 일반적으로 소리가 들어오는 마이크 위치가 되겠다. 같은 고막형 사이.. 2015. 3. 12.
2015-03 공무원연금지, 동문서답 김씨의 고민- 70대 10명중 7명이 난청, 3명은 보청기가 반드시 필요 ' 공무원연금'지는 공무원연금공단이 발행하는 월간지로 은퇴 후 행복한 연금생활의 동반자입니다. 라는 문구가 연금지 열면 가장 앞에 쓰여져 있습니다. 70대 이상의 노년의 삶에서 청력 문제도 빼놓을 수 없는 문제이지요. 저희 웨이브히어링은 행복한 노후의 삶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자 동반자 역할을 자처하고 있습니다. 평생 공무원 생활을 하시고 은퇴하신 분들께 청력 문제 만큼은 웨이브히어링에서 해결해 드리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사진 공무원연금지 Vol. 369 건강백과_2015 습관을 바꾸면 건강해집니다. 생활습관병 ③ 난청 2015년 봄이 시작되는 3월, 이번달 공무원 연금지의 '건강백과'에는 이라는 제목으로 노인성 난청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건강의료 전문기자인 박효순님이 기고하신 글입.. 2015. 3. 4.
[돌발성난청_웨이브히어링]생로병사의 비밀- 돌발성난청, "우습게 볼 일 아니야". 지난주 일요일(2/8) KBS 생로병사의 비밀 - 돌발성난청 편에서 오랜만에 TV를 통해서 3분의 모습을 뵈니 반가움이 들었다. 예전 인공와우와 이비인후과 학회에서 오래 뵈었던 교수님들이시다. 장선오 교수님, 오승하 교수님, 박문서 교수님. 돌발성 난청은 귀 건강 관련하여 단골 메뉴로 메스컴도을 타는 주제이다. 크게 새로운 내용은 아니지만 상식차원에서 꼭 필요한 부분만 정리해서 포스팅 해본다. 인간의 5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중에서 가장 먼저 형성이 되고, 가장 오래까지 남아있는 감각이 청각이라고 한다. 그 만큼 중요하지만 소홀히 하기 쉬운것이 청력이다. 오늘의 주제는 돌발성난청이다. 우리나라 이비인후과 명의에 들어가는 세분 교수님의 인터뷰 내용이다. 장선오 교수님, 오승하 교수님, 박문.. 2015. 2. 12.
[오티콘보청기- 웨이브히어링] 보청기 구입전 꼭 봐야하는 3분 동영상, 말소리를 분별해내는 뇌를 생각해봅시다. ' 단순하게 소리를 듣늗다 '와 ' 무슨말인지 구분한다 '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제가 상담할 때 자주 언급하는 부분인데 전문용어로 말하면 귀로 듣는(Ear Hearing)것과 뇌로 듣는 (Brain Hearing) 차이를 짧게 3분만에 이해하기 쉽게 풀어놓은 동영상을 소개합니다. 덴마크 보청기 전문기업 오티콘 사에서 적용하고 있는 브레인히어링 개념입니다. 저의 상담 틀과 딱 맞아 떨어지는 부분이라 큰 공감이 느꼈습니다. 제작 포인트를 아주 정확하게 잘 짚어냈습니다. 사진 www.otichearing.com “시끄러운 공간에서 듣고자 하는 소리를 어떻게 구분해 낼까요? 여기에는 뇌의 특별한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유튜브에서 찾은 '브레인히어링'을 설명하는 동영상입니다(제작_Oticon). 중요한 멘트.. 2015. 1. 17.
[웨이브히어링 보청기] 앉았다 일어났다 잘하면 사망률 감소, 수명 UP! 가끔씩 제 페이스북을 통해서 보는 SBS8news(SBS뉴스)의 임팩트 있는 메세지 전달력이 참 맘에 든다. 관련 이미지와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설명이 동시에 전달되어 받는 이로 하여금 일목요연하게 정리된다는 느낌을 받는다. 나의 직업적 특성상 청각 역시 다른 감각기관과 더불어 뇌와 아주 절대적으로 관련이 깊기 때문에 뇌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간단한 내용이지만 권해볼 만한 간단한 소식이라 포스팅을 올린다. 아래 포스팅에 사용한 이미지는 페이스북 계정의 SBS8news(SBS뉴스)에 소개된 내용임을 밝힌다. 앉았다 일어서기를 잘하면 사망률이 감소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앉았다 일어나는 과정의 자세를 유지하려면 몸 속 650개 근육이 발달해야 한다고 한다. 그런데 심혈관이 약하면 근육이 발달하지 못한다고 .. 2014. 1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