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청기 피드백6

[보청기 만족도향상] 처음 제작한 보청기 문제가 있다면, 문제부위 체크 후 재제작이 가능 귀 안에 들어가는 보청기는 사용자 귀에 맞게 제작을 하게 되는데 쉘과 플레이트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는 보청기 외관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보청기 내부 부품을 감싸는 역할을 하는데 이 쉘과 플레이트는 보청기 제조사마다 조금씩 다르다. 그러나 보청기 제작에 있어서 공통점은 사용자 개인의 귓속 내부(용적)을 토대로 한 맞춤 제작이라는 것이다. 오늘은 보청기 를 사용하다 보청기에 문제가 있는 경우, 해당 문제 부위를 꼼꼼하게 체크한 후에 다시 만드는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사진_ wsj.com ㅣ 글_ 브라이언송 아래 좌측 사진은 기존에 착용했던 보청기, 우측 사진은 최근에 제작한 보청기이다. 새로 제작한 보청기(우측사진)에 착용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신다. 지금부터 새로 제작한 보청기를 다시 만들기 위해.. 2015. 8. 5.
보청기 사용바로잡기- "보청기 사용시 밥 먹을 때 소리가 납니다" 해결법 보청기를 사용하면서 평상 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식사, 하품, 크게 웃는 등 하악운동(TMJ)과 관련하여 매우 신경이 쓰일 정도로 피드백(하울링)이 발생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입이 벌려지는 각도가 큰 경우에도 보청기를 착용한 귀 내부의 증폭된 소리가 귀 외부로 누출되어 다시 증폭이 되는 현상이 나타나곤 합니다. 오늘은 입을 크게 벌리는 동작 시 보청기에서 소리가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법을 소개합니다. 사진 eastmelbournedentist.com.au 일단 이 분의 불편한 내용은 피드백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피드백(사용자한테는 삐~ 하는 소리로 들려지며, 주위 사람들에게도 들려집니다)은 증폭된 보청기의 소리가 고막 안쪽으로 모두 수용되지 않고, 어떠한 이유로 귀 밖으로 다시 누출이 되어 재증폭(r.. 2015. 5. 25.
보청기 구입후 잘맞지 않는경우, 무상서비스 기간을 체크할 것 - 오티콘 무상 재제작 서비스[웨이브히어링] 필자는 구두에 광을 내서 신는 것을 그다지 좋아라 하지 않는다. 그런데 아주 가끔은 광을 내보고 싶을 때가 있는데 솜씨가 좋은 구두방 아저씨를 만나서 잘 닦여져 반짝반짝 빛이 나는 구두를 쳐다보고 있노라면 마음이 아주 흐믓할 때가 있다. 사용자 귀 내부의 본이 정확하게 채취되지 않아서 잘 맞지 않는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의 보청기를 수정해서 정확하게 핏(FIT)을 맞추어주게 되면 반짝반짝 닦여진 내 구두를 보는 것 같아서 마음이 흐믓하다. 사진 ricogrimm.de900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아래 그림처럼 보청기 착용의 물리적인 핏(fit)이 잘되어서 착용 후에 발생했던 '삐~' 하는 피드백 소리가 이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귀 내부 본을 토대로 제작이 된 보청기 쉘(틀, 껍데기)이 귀내부와 맞.. 2014. 5. 26.
유니트론보청기 퀀텀 20채널 4가지 만족요소: 부드러운 음질, 3D제작, 환기구, 피드백 보청기 사용 유경험자들은 그 동안 자신만의 경험을 바탕으로 본인이 원하는 다양한 요구사항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오늘 포스팅에 소개해 드리는 내용은 제가 3개월 정도 공을 드린 케이스입니다. 여기서 공을 드렸다라는 부분은 말소리 분별력 대비 보청기 착용 후 기대효과가 꽤나 까다로우신 분으로 '어떻게든 해드린다' 라는 동기가 발동하여 3개월 정도 지속적인 follow up을 통해 체크와 관리를 해드렸고, 어제 아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고 종료된 케이스입니다. 사진 www.olympicarcheryinschools.org Name: KOO Age: 80 yr/ Female Hearing test Summary 청력손실정도 (Hearing loss - 우측귀) 73dB / 좌측귀) 63dB 말소리분별력 (Wor.. 2014. 3. 20.
[보청기 학습자료] 내 귀에 보청기가 맞지 않는 문제. 그 6가지 원인은? 사람마다 귀 내부 모양이 10인 10색 다르기 때문에 보청기라는 것은 맞춤형으로 제작을 하게 됩니다. 귓본을 토대로 제작에 들어간 보청기를 사용자가 사용하다 보면 초기에 귀에 잘 맞지 않는 경우들이 가끔씩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번 세번 작업을 다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는 사용자의 귀 내부 모양, 귓본 자체 문제 등이 결부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이처럼 보청기가 귀에 맞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 그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보청기 문제점에 대해서 가장 문제가 발생하는 6가지 케이스입니다. 귓본을 토대로 보청기 안착 형태(주황색)를 그림으로 도식화하였습니다. 보청기가 잘 맞지 않는다고 고객/환자가 컴플레인 하는 문제로 삽입시 문제, 리텐션 문제, 편안함 문제, 피드백 문제, 리시버 방향.. 2010. 7. 5.
보청기 피드백(삐~하는 소리): 첫 피팅 시 반드시 설정하세요. 대한민국에서 보청기를 사용하는 3명 중 1명이 스타키 보청기를 착용하고 계십니다. 또한 아날로그 보청기는 전 세계적으로 더 이상 생산이 되지 않아 현재 보청기 시장의 90% 이상은 디지털 보청기로 보급되어 있습니다. 디지털 보청기는 무엇이 좋을까요? 우선 사용자(유저)와 전문가 입장(딜러)에서 보면, 컴퓨터 피팅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렇게 저렇게 증폭되는 보청기의 소리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 또한 피드백의 문제에 있어서도 아날로그 보청기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오늘은 디지털 보청기에서 적용되는 피드백 처리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 보청기를 착용하고 증폭된 소리가 귀 안으로 흡수되지 않고 어떠한 경로를 통해 소리가 밖으로 새어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흔히들 하울.. 2010. 5.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