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청기 제조사11

장애인보장구(보청기) 업소등록, 2010년 12월 31일까지 유예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장애인 보장구 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적정관리를 통한 양질의 보장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장구 업소(보청기 판매센터) 및 품목 등록제(보청기 제조사)를 도입합니다. 이 개선안에 대해서 2010년 7월1일자로 시행하고 2010년 9월 30일까지 3개월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청기를 판매하는 곳(병원, 난청센터, 보청기 전문점 등)에서는 소비자가 보장구 환급에 대한 급여 혜택을 받기를 희망하고 당 센터에서 이를 위한 서류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장구 업소 등록을 9월 30일까지 마치셔야 합니다. ☞ 9월 30일까지 보장구 업소 등록을 하기로 하였으나, 국민보험공단에서 올해 연말까지 업소등록하는 것으로 유예기간을 연장하였답니다. 아직 등록을 못하신분들께서는 올해 안에 하.. 2010. 7. 1.
어떤 사람들이 주로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을까요? 보청기를 나이가 들면 하게되는 물건? 정도로 생각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점차 보청기 착용을 시작하는 연령대가 낮아지고 이러한 그룹들이 세상의 변화와 맞물려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자료는 수요 측면에서 보청기 사용자의 비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사람들이 보청기를 쓰고 있을까요?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미국이나 유럽의 보청기 제조회사(Manufacturer)들은 전통적인 보청기를 제작 생산하였습니다. 특별한 착용 대상자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개념에서 난청(청력손실)정도에 따른 보청기만을 만들어냈죠. 하지만 조금더 사용자 층을 구분하여 난청 대상자 층을 고려하여 제품을 개발해 냅니다. 그것도 한 회사가 특정 기능을 출시하면 곧이어 유사한 기능들이 탑재되어 경쟁사에서도 출시가.. 2010. 6. 21.
잘 되는 보청기 대리점의 공통점 그림 http://kkd4139.tistory.com/327 글 Brian Song ☞ 어디를 가더라도 잘 되는 집은 다 이유가 있기 마련입니다. 하다 못해 점심 한끼를 먹으러 가더라도 이 집이 잘되는 집인지 아닌지는 식당 사람들의 손님맞는 말투나 자세 그리고 주변을 잠시만 둘러봐도 알 수 있습니다. 보청기 대리점 & 난청 클리닉 역시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보청기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고객이 처음 방문해서 잠시 동안 상담을 받아 보더라도 이 곳에서 보청기를 구매할지 말지 그 결정을 내리기에는 긴 시간이 필요치 않다는 말입니다. 하물며 비전문가도 알 수 있는 것을 전문가인 제 눈에는 어떻게 보여질까요? 거짓말 조금 보태서 국내에서 보청기를 판매하는 전국의 보청기 센터 & 난청 클리닉은 모조리.. 2010. 5. 21.
청각이 아닌 시각으로 즐거움을 주는 서비스 정책 ☞ 보청기 제조사가 보청기만을 제조하는 시대는 이젠 더 이상 경쟁력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더욱이 올해에만 한국지사가 설립된 외국계 보청기 브랜드 와이덱스, 포낙, 오티콘 이렇게 3개 회사가 추가로 늘어났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소비자 수요는 늘지 않는 상황에서 파이 나눠먹기 식으로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으니 경쟁력이 뒷바침 되지 않고서는 서바이벌 하기가 쉽지 않게 되었습니다. 좋은 보청기, 우수한 보청기를 제조하는 고유의 역할 이외에 보청기 대리점,딜러 그리고 최종 소비자에게 기업의 또 다른 이면을 보여주어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폭넓은 서비스 정책이야 말로 서바이벌 할 수 있는 무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스타키보청기는 다른 경쟁사들 보다 한 수 위에서 있다고 생각합니다. 스타키보.. 2010. 5. 21.
식약청(KFDA)으로부터 보청기 부적합 판정을 받은 보청기 제조사 5곳은 어디? ☞ 보청기 '성능미달' 제품들이 식약청 단속에 적발되었다는 내용이 지난 한 주 보청기 업계에서 이슈가 되었습니다. 사실 저는 지난 1월 15일(금)에 식약청이 공식적인 보도 자료를 내보내기 전 이번 사건과 관련하여 식약청에서 주관한 "보청기 성능시험 관련 전문가 회의"에 전문가 입장으로 참석을 했었습니다. 그 때 분위기로어느 정도 사태를 감지할 수 있었습니다. 제 생각보다는 조금 빨리 보도가 나갔고 보도된 발표 수위가 높았기에 적지 않게 놀랐습니다. 뉴스 및 언론 보도 역시 조금은 노골적으로 발표가 나간 것은 소비자의 피해와 더 이상 이렇게 보청기 시장 유통 문제에 대해서 느슨하지 않겠다는 식약청의 의지로 보여집니다. 언론에 보도된 노골적인 수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능 부적합 4개 제품은 국내산과 수입.. 2010. 5.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