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귓본채취11 초소형보청기 '오토렌즈' 실제 접수된 귓본 케이스 비교 PASS or FAIL 오토렌즈에 대한 관심이 실제 결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 7월 6일(화) 공식 런칭 이후 주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화요일 런칭 이후 워킹데이(수,목,금) 3일 동안 스타키코리아에 오토렌즈 제작으로 오더(Order In;접수되어 제작으로 진행)된 귓본 중에서 적합한 귓본과 그렇지 못한 귓본을 골라보았습니다. ☞ 귓속 모형을 투명 아크릴로 제작하여 만든 상담용 이어블럭입니다. 기존의 고막형(CIC) 보청기(빨간색 보청기)와 오토렌즈(검정색)를 외이도 깊이에 맞게 실제 사이즈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우측의 그림은 오토렌즈만 삽입한 귀 모형입니다. 기존의 고막형(CIC)보다 한 단계 더 안쪽으로 깊게 장착하게 되는 것이 오토렌즈(초소형보청기)의 핵심입니다. 그래야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게 되며 전문적.. 2010. 7. 13. 오토렌즈(초소형 보청기) 귓본채취- 실습과정[동영상] 7월 6일 (화) 오토렌즈 공식 런칭에 기대 이상으로 국내의 많은 보청기 전문가분들이 참석을 해주셨습니다.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기대 이상의 관심과 호응을 보여주셨기에 준비하는 입장에서 기쁘게 임할 수 있었습니다. 런칭 세미나 당일 참석을 하지 못해 실습에 임할 수 없었던 분들을 위해 오토렌즈- '귓본채취과정' 을 동영상 자료로 준비해 드립니다. 참조하세요.^^ 초소형 고막형 보청기 제작을 위한 귓본 채취 작업은 현재 고막형 단계까지 제작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귓본 채취 도구로는 외이도 안쪽 깊숙하게 실리콘 재질을 넣을 수 없습니다. 좀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고막 바로 앞 부분까지 귓속 모형을 취형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오토렌즈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아래 그림처럼 최대한 고막에 가깝게 솜을 넣는 .. 2010. 7. 9. [웨이브히어링] 귓본(이어몰드)의 해부학적 명칭 알아보기 보청기를 맞춤에 있어서 첫 단추가 사용자(환자/고객)의 귓 내부 모형(귓본)을 정확하게 채취하는 것입니다. 모든 보청기 제조사는 각 센터 또는 난청 클리닉으로부터 전달 받은 귓본을 토대로 제작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귓본(이어몰드)의 해부학적인 명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청기를 처방하고 보청기를 제작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귓본입니다. 이 귓본 채취 과정을 별거 아닌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보청기 맞춤에 있어서 귓본을 깊숙히 그리고 정확하게 채취하는 것은 보청기를 구입해서 사용하는 분들의 만족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입니다. 이는 보청기 피팅의 첫단추 입니다. 왜 맞춤형 보청기(Custom Hearing aid)라고 할까요? 사람마다 동일.. 2010. 7. 3. 초소형 보청기(오토렌즈), 귓본 제작을 위한 도구(임프레션 키트) 초소형 보청기 제작을 위한 임프레션 키트(Impression Kit)가 스타키 미국 본사로부터 입고되었습니다. 임프레션 키트는 쉽게 말해서 귓본을 채취하기 위한 도구박스를 말합니다. 하나씩 그림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현재 저희는 7월 공식 런칭을 앞두고 바쁘게 준비중에 있습니다.^^ ☞ 위 박스를 개봉하면 실리콘 카트리지(실리콘액 2종이 한 세트), 이어건(기존의 주사위 대체), 믹싱기(기존의 주사위 앞부분에 해당되는 부분), 측정 게이지, 새롭게 제작된 솜(코픈댐), 오토이지(미네랄 오일), 이어라이트(LED 조명)가 들어 있습니다. ☞ 지금부터 하나씩 하나씩 그림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이어건과 실리콘 카드리지를 결합한 모습입니다. 기존에는 손으로 반죽을 했지만 오토렌즈 전용 임프레션 실리콘 액.. 2010. 6. 24. 이렇게 작은 초소형 고막형 보청기 보셨나요? 스타키, "오토렌즈(OtoLens)" 글로벌 청각전문 기업 미국 Starkey 사가 또 하나의 혁신적인 제품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스타키 사는 신제품 출시 때 마다 업계 최초라는 수식어가 많이 붙여질 만큼 혁신적인 기능들을 선보이는 리딩 컴퍼니입니다. 이번 2010 미국청각학회(AAA, 미국 센디에고.4월 14~17)에서도 선보일 예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시판되는 시점은 조금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번 포스팅의 요지는 청각학의 관점에서 그리고 이론을 실제 임상에 접목시켰을 때, 현재 보청기 테크놀로지 단계가 어디까지 왔는지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직 CONFIDENTIAL한 정보 였는데, 어제 (3/27/토) 스타키코리아 창립 14주년 기념식 에서 미국본사의 Phlip Lyon 부사장님이 참석하신.. 2010. 5. 2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