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라이언송의 Ear & Hearing2270

난청진단을 받은 7 개월 아이 엄마에게 드리는 글 며칠 전 난청 진단을 받은 아이 엄마로부터 메일을 받았습니다. 대부분 자녀가 난청(청력손실)이 있다고 진단을 받은 엄마, 아빠들은 인정하고 받아들이기까지 조금은 시간이 걸립니다. 일단 정신적으로 오는 충격과 정확환 진단을 받기 위해 병원 몇 곳을 예약하고 결과를 얻기 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또 인정하고 나서 부터는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될지 초반에 막막함이 듭니다. 정확한 이야기를 듣고 싶고 난청 진단을 인정하고 중재 방안에 대해서 돌아가지 않고 바로 가기를 바라는 마음은 모든 누구에게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사진 myfirstphoto.ie 난청을 진단 받은 7 개월 영아를 두고 있는 엄마로부터 온 메일 내용입니다. 4가지 사항에 대해서 궁금함을 갖고 문의를 주셨습니다. 보내주신 메일 내용.. 2011. 8. 9.
20~50 대가 선택한 사운드 렌즈가 대세이다.(사운드렌즈, 앰프 판매 실적) 업계 유일하게 보이지 않는 제품 두 모델(사운드렌즈, 앰프)의 출시 후 판매실적을 살짝 공개토록 하겠습니다. 사운드렌즈는 맞춤형이고, 앰프는 이미 만들어진 기성형 타입입니다. 두 제품 모두 한국인이 선호하는 '보이지 않는다'라는 점이 어필이 되어 단 기간에 높은 실적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올 후반기에도 사운드렌즈 후속타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제 사회 활동을 하시는 분들에게 보이는 부분에 대한 스트레스는 없을 듯 합니다. 사운드 렌즈가 대세입니다. 사진 salescoachinghabits.com 사운드렌즈 (보이지 않는 맞춤형 보청기)가 국내에 출시 된지 1년이 조금 넘은 시점에 1천대 판매를 돌파했습니다. 보이지 않는다라는 점이 젊은층과 중장년층에게 상당히 어필이 된듯합니다. 나이대로 치면 20~ 5.. 2011. 8. 6.
글로벌 청각전문기업 '스타키코리아 창립 15주년을 맞이하다' 안녕하세요. 8 월의 시작을 알리는 월요일 입니다. 제가 일하고 있는 글로벌 청각전문기업 스타키코리아가 어느새 창립한지 15 년이 되었답니다. 다음주 토요일(8월12일)에 행사가 준비되어 있사오니 많은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그날은 미국 본사 Jerry 사장님도 참석하십니다. 사진 budgetplanningwedding.com 2011. 8. 1.
미술관에 간 CEO,스타키코리아 심상돈 대표-6.25 美 추모벽 건립 모금에 앞장 제가 최근에 관심을 갖고 보고 있는 책이 "미술관에 간 CEO"(김창대 지음)란 도서입니다. 한마디로 '경영, 예술에게 길을 묻다'입니다. 저자의 글 솜씨에 힘이 있음을 보는 내내 느겼습니다. 그림과 경영을 빗대어 서술하는 시각이 읽을 수록 많은 생각을 들게 할 정도로 재미있었습니다. 2009년 삼성경제연구소에서 국내 경영자 436명에게 ' CEO의 예술적 감각이 경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96.2 %의 CEO 들이 "그렇다"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사진 blog.joinsmsn.com (작품 오귀스트 르누아르, 1876) 이처럼 많은 CEO들이 왜 예술적 감각이 경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을까요? 예술적 감각이 경영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묻는 질문에는 '감성적 섬세함(34.5%)', .. 2011. 7. 29.
보청기 대리점/ 난청 클리닉의 홈페이지 심의 관련 가이드 "보청기"가 의료기기 품목으로 지정되어 있다보니 사업하시는 분 입장에서 보면 현실적으로 여러가지 제약이 따르게 됩니다. 그 중에 하나가 온라인 상에서 활동입니다. 보청기 대리점 또는 난청센터를 홍보함에 있어서 홈페이지를 만드는 것은 요즘에 와서는 당연한 하나의 마케팅 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에 대한 관련 기관의 실사와 모니터링이 강화되다 보니 관련법을 준수하여 불이익을 받지 않는 것이 현명한 일이겠습니다. 업계에 있다보니 참으로 많은 분들이 물어보신 내용 중에 하나입니다. 또한 관련 기관도 명확한 제시나 지침을 해주지 못했었습니다. 이에 대해서 스타키코리아에서 보청기 대리점/난청클리닉 운영에 있어서 홈페이지 제작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홈페이지가 있으셨던 분들은.. 2011. 7. 28.
[동영상] KBS 시청자칼럼 - 군에서 생긴 이명피해, 보상은 없다? 군복무와 관련된 이명/난청문제에 대해서는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이건 아니지 않는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병역 기피에 대한 군 문제에 대해서는 그토록 민감한 사회적 이슈로 떠들어 대면서, 정작 자발적으로 입대해서 군생활 동안 얻어진 정신적,육체적 피해에 대한 규정과 관련 법규는 뒷전인 이 문제에 대해서는 조속한 시정개선이 필요하리라 생각됩니다. 5분 짜리 길지 않은 동영상 클립을 보면서 나의 자식, 나의 형/동생이라면 어떠할 지 생각해 보셨으면 합니다. 사진 stephenslegal.com KBS1 시청자 칼럼 우리사는 세상 ([월~금] 오후 06:55~ 방송중)에 소개된 5분 짜리 동영상입니다. 이걸 보면서 최근에 제가 업무적으로 만난 한 외국분이 생각납니다. 이 외국분은 현재 미국 Veterans Ad.. 2011.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