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이언송의 Ear & Hearing2253 브라이언송 블로그 메인 페이지 디자인 변경에 따른 안내 여러분, 안녕하세요. 브라이언송 입니다. 제가 블로그를 시작한지 어느 덧 2 년이 조금 지나버렸습니다. 2011년도를 마무리하기까지 한 달이라는 시간이 남아있습니다. 그 동안 저 스스로도 변화를 조금 느꼈던 부분이기도 하고 매일 매일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는 많은 분들께도 자꾸 변하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드리는 것이 블로거로서의 예의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보다 심플하게 바꾸었습니다. 사진 hkcosme.com 변경된 메인 페이지 내용 소개 New Posting - 가장 최근에 작성된 글 3개가 시간순으로 노출되도록 하였습니다. MyAudiologist - 보청기 사용 고객의 직접적인 청각/보청기 질문에 답변을 달아드리는 코너. 상담 테크닉 - 보청기 센터를 운영하시는 딜러분들께 도움이 되었.. 2011. 12. 3. 2년 마다 한번씩 열리는 AEP(auditory evoked potential) 국제 학회 소개 미국에서 청각학 박사과정에 있는 박소은님으로부터 좋은 정보를 소개 받았습니다. 청각학을 전공하시는 석사 과정 그리고 박사 과정에 계시는 분들은 보통 학위 논문과 관련하여 AEP를 주제로 많이들 합니다. 저 역시 석사 과정 때 흥미롭고 재미있게 AEP 실습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진 www.facebook.com/IERASG.NOLA2013 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 근무하시는 청각사 선생님들 그리고 청각학 전공자들에게 AEP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업데이트하는데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요즘은 모든 것이 스마트 휴대폰에 죄다 들어있는 것 같습니다. 페이스 북에 페이지를 오픈했다고 하니 한번 정도 들어가 보심이 어떠할까요? 아래는 제 블로그 게시판에 박소은님이 남겨놓은 소개글입니다. 방문하셔서 정말 좋으면.. 2011. 12. 2. 호주 멜버른에서 유학중인 예비 청각전문가(Audiologist)의 국내 청각실습문의 이달 초 시애틀에 이어서 이번에는 호주 멜버른입니다. 외국에서 청각학 관련 유학을 하는 학생들이 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한국에 들어와 있는 동안 국내에서 청각실습과 같은 트레이닝을 받고 싶어하는 문의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딸을 무지 사랑하시는 어머님의 마음이 찐하게 뭍어 있는 내용입니다. 그림 my.americanheart.org 좋은 센터와 연결해 드리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습니다. 호주 그리고 미국에서의 오디올로지 센터 운영에 대해서 그리고 한국의 보청기 센터 현실에 대해서 생생한 경험을 비교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아닐까 합니다. 인터넷이라 문서화된 자료를 통해서가 아니라 서로 다른 환경에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뜻깊은 기회가 아닐까 싶습니다. 서로에게 좋은 기회를 만들어 드리고 싶어집니다.. 2011. 11. 26.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이명,난청에 대한 실태, 여러분 알고 계시나요? 군 이명 피해자 연대(군 귀울림병 피해자 모임) 까페 회원들의 성금을 모아 국가보훈처 이명과 난청 혼합법의 실태에 대한 동영상 제작이 드디어 완료되었습니다. 내용 전달을 위한 구성과 기획이 아주 잘 되어서 이명과 난청에 대해서 잘 모르는 일반인이 보더라도 이해가 쉽게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까페 관련 분들의 그 간의 노고와 정성이 더해져서 국가보훈처를 포함한 국방부 및 관련 기관에서 이제는 현실을 깨달아 관련 법규 개정및 대책 마련이 나와야 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사진 mpva.tistory.com 군 복무는 국가 구성원으로서 마쳐야 하는 국민의 의무이기에 의도적 군복무 기피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많은 비난을 하는 나라가 우리 나라입니다. 군복무를 당연시하고 회피에 대해서는 비난의 여론을 쏟아내면서 아.. 2011. 11. 24. 미국인의 경우 이명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 미국인의 이명 실태 파악 사람은 잠을 잘 자야한다. 그래야 건강할 수 있고 맑은 정신으로 업무 효율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명이 심한 경우에는 이러한 숙면을 방해하고 생활의 불균형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숙면을 취하고 일어난 다음 날은 마치 보약을 먹은 것 처럼 개운함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많은 인구가 이명으로 삶을 방해 받고 있으나, 정확한 실태조사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 미국의 경우는 어떠할까? 지난 시간에 이어 간단하게 도표로 설명을 드린다. 사진 hdofblog.com 통상 이러한 자료를 올리는 원본 페이퍼 논문의 경우 그래프와 표가 다양하게 언급되는데 이를 포스팅 1회에 다 올리는 것은 보는 이로하여금 그리고 전달하는 입장에서 포커스가 사라지는 느낌을 주게 된다. 따라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내가 전달하고자.. 2011. 11. 21. 이명에 대한 최신 자료 - 미국 전체 인구의 10%(3천만명)가 이명이 있다. 이명(Tinnitus)에 대한 발현율을 조사한 최신 자료가 있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미국 전체 인구(3억)의 10%인 3 천만명이 이명(귀울림)을 갖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오늘 아침 출근해서 책상에 놓여진 the Hearing Review (Vol 18 No12 November 2011)에서 발췌한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간단하게 표 하나로 정리된 자료입니다. Sergei Kochkin 박사의 페이퍼입니다. 사진 newtinnituscures.com 미국 전체 인구 VS 이명이 있는 그룹에 대해서 나이, 성별, 교육정도, 직업, 거주 도시 규모, 기혼여부, 가족 구성, 수입을 비교한 자료입니다. 이명에 대한 강의나 페이퍼 논문을 준비하고 계신 분들에게는 귀한 자료가 될 듯합니다. 페이퍼 저자.. 2011. 11. 17. 이전 1 ··· 296 297 298 299 300 301 302 ··· 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