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청기_피팅노하우133 [보청기 학습자료] 귓본 채취 후, 리텐션 영역 확인해보기 연속적으로 귓본에 대해서 포스트를 올리고 있습니다. 대다수 딜러분들께서 보청기 제작을 위해 보내오는 귓본들을 살펴보면 귓본에 대해서 크게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내가 채취한 고객/환자의 귓본 상태를 꼼꼼히 챙겨보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보실 때 무엇을 생각하고 보는지도 포인트가 있어야 합니다. 귀 내부 모양이 S자형 굴곡으로 되어 있기에, 귀 내부를 채취하고 나면 그대로 모양이 복사되어 나오는 것은 당연하겠죠. 그럼 굴곡이 있기에 귓본 상태를 체크하는데 있어서는 앞과 뒤(anterior-posterior), 위와 아래(superior-inferior) 관점에서 체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귀 내부 모양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고객/환자의 몫이기에 어쩔수 없는 부분이지만 우선적으로 정확하게 .. 2010. 7. 7. [보청기 학습자료] 귓본을 토대로 한 보청기 사이즈별 리텐션 영역이 다르다. 동일한 귓본을 갖고서라도 고객/환자가 원하는 보청기 사이즈에 따라서 귀 내부에서 밀려나오지 않게 지탱해 주는 영역(리텐션 영역)이 달라집니다. 귓본에 대해서 보청기 제작과 관련되어 디테일하게 공부할 수 있는 자료라 생각되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보청기는 디테일이 요구되는 작업입니다. 그림 A, B, C 에서 점점 넓어지는 부분으로 빨간색 라인으로 보여지는 부분이 리텐션(Retention) 영역이 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외이도는 입구에서 부터 안으로 들어갈 수록 점점 넓어지는 부분이 있게 마련입니다. 사람마다 정도 차이는 있겠지만 대부분 안쪽으로 들어갈 수록 입구 쪽보다는 넓게 벌어지는 형상을 갖습니다. 시각적으로 설명을 쉽게 드리자면 그림 A에서 보면 사람이 마치 발을 벌리고 서 있는 모습 보이시죠? 외이.. 2010. 7. 6. [보청기 학습자료] 내 귀에 보청기가 맞지 않는 문제. 그 6가지 원인은? 사람마다 귀 내부 모양이 10인 10색 다르기 때문에 보청기라는 것은 맞춤형으로 제작을 하게 됩니다. 귓본을 토대로 제작에 들어간 보청기를 사용자가 사용하다 보면 초기에 귀에 잘 맞지 않는 경우들이 가끔씩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번 세번 작업을 다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는 사용자의 귀 내부 모양, 귓본 자체 문제 등이 결부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이처럼 보청기가 귀에 맞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 그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보청기 문제점에 대해서 가장 문제가 발생하는 6가지 케이스입니다. 귓본을 토대로 보청기 안착 형태(주황색)를 그림으로 도식화하였습니다. 보청기가 잘 맞지 않는다고 고객/환자가 컴플레인 하는 문제로 삽입시 문제, 리텐션 문제, 편안함 문제, 피드백 문제, 리시버 방향.. 2010. 7. 5. [웨이브히어링] 귓본(이어몰드)의 해부학적 명칭 알아보기 보청기를 맞춤에 있어서 첫 단추가 사용자(환자/고객)의 귓 내부 모형(귓본)을 정확하게 채취하는 것입니다. 모든 보청기 제조사는 각 센터 또는 난청 클리닉으로부터 전달 받은 귓본을 토대로 제작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귓본(이어몰드)의 해부학적인 명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청기를 처방하고 보청기를 제작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귓본입니다. 이 귓본 채취 과정을 별거 아닌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보청기 맞춤에 있어서 귓본을 깊숙히 그리고 정확하게 채취하는 것은 보청기를 구입해서 사용하는 분들의 만족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입니다. 이는 보청기 피팅의 첫단추 입니다. 왜 맞춤형 보청기(Custom Hearing aid)라고 할까요? 사람마다 동일.. 2010. 7. 3. 보청기 소리조절(피팅)에 대한 맥을 짚는 가이드 고가의 디지털 보청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나한테 맞는 보청기의 선정도 중요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행동 반경을 고려한 활용도 측면에서 과연 나의 청력을 고려한 적절한 피팅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믿음 가는 청각전문가의 만남이 더욱 중요한 것입니다. 다 년간 보청기를 취급했다 하더라도 시간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기술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작금의 보청기 기술력이라 하더라도 기본적인 피팅(소리조절)의 원리와 틀은 보청기 브랜드(제조사)를 불문하고 변함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오늘부터 몇 차례에 걸쳐서 보청기 소리조절(피팅)에 대한 맥을 짚어 드리는 포스팅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그 간의 오프라인 강의에서 가끔씩 피팅법에 대해서 소개를 해 드린 적이 있지만 온라인 특성 상 일단 포스팅 되어 놓은 자료는 언제 어.. 2010. 6. 3. 간편하게 전화로 보청기 음질만족도 올리는 방법(Telehealth Fitting 방법) 보청기를 구입하고 나서 소리조절 받는거에 대해서 번거롭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그 상태가 전부가 아닌데 말이죠. 머니머니 해도 디지털 보청기의 장점을 꼽으라 한다면 소리조절(음질)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음질 조절에 대해서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어요. 전화로 피팅하는 방법과 조절가능한 음질 유형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기존의 경우, 보청기 사용자가 센터에 내원하여 불편한 음질 부분에 대해서 말하던 것을 이제는 전화로 대체하는 방법입니다. 원리는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해 드렸습니다. 블루투스 방식이 아니라 DTMF방식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보청기에 접속하여 제어를 한다는 것이죠. 다음 그림을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1. " 제.. 2010. 6. 2.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