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이 많은 데서 서로 얘기할 때 힘든 거 같더라고요. 조별로 각자 토론하는 식으로 수업할 때, 우리 조원들끼리 얘기하는 게 뭐랄까 잘 파악이 안된다나 그런 느낌이더라고요. 소리는 들리는데 그 소리들이 명확하게
들리지 않으니까 그렇게 되는 거 같아요. 아무래도 조별 토론이다보니 주위 소음도 있고 해서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 거 같더라고요. 상담하시는 분은 정상인도 주변 소음이 있으면 힘들다고 그러더라고요. 현실적인거 같으면서도 왠지 욕심이 나네요. 지금보다 더 잘 듣고 싶다라는.. 지금 보청기가 21~22데시벨 정도로 맞춰져 있습니다. 현 상황에서 제일 효율적으로 피팅하셨다고 하시더라고요. Q) 이게 정말 최선인지? 확실한지? 다른 방법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뒤에서 부르는 소리를 잘 못 듣네요. 사실 원래는 앞에서 부르면 동작+소리로 반응하잖아요. 근데 뒤에서는 소리로만으로 반응하는거니까 이게 잘 안되네요. 혹시 앞에서 말한 보청기 증폭량(볼륨)을 더 늘리면 되는지 모르겠네요.
Q) 보청기 증폭(볼륨)을 더 늘리면, 소리는 더 커지고 말 분별력도 더 늘어나지 않을까요?
보청기 피팅(소리조정)을 통해서
토익/토플 청취력을 보강할 수 있는개선의 여지 문의
웨이브히어링 청각센터
보청기 ㅣ 브라이언송 ㅣ 02) 736-9966
보청기 착용 후 TV, 전화 사용이 기대한 만큼 잘 안들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11.07.16 |
---|---|
고심도 청력손실 대상자의 청각학적 특성, 이게 최선입니까?! 확실해요? (0) | 2011.03.01 |
M군이 말하는 보청기 양이 착용 시, 2% 부족한 4가지 상황 (0) | 2011.01.29 |
디지털 보청기 선택의 또 다른 중요한 기준은 채널입니다. (0) | 2010.10.25 |
[웨이브히어링] 유소아(2세~7세) 난청 아동의 보청기 피팅 시 반드시 고려해야 될 사항 (0) | 2010.07.15 |
초소형보청기 '오토렌즈' 실제 접수된 귓본 케이스 비교 PASS or FAIL (0) | 2010.07.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