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력검사36 [웨이브히어링] 달팽이관(와우)의 오묘한 기능에 대해서 아시나요? 우리가 소리를 듣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감각기관이 바로 귓속 깊숙히 자리 잡고 있는 달팽이관입니다. 마치 달팽이 모양을 닮아서 그렇게 불리고 있습니다. 와우(cochela)라고도 하는데, 누구나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전부 두 개의 달팽이관을 갖고 있습니다. 조물주가 정말 기가 막히게 만들어 주신 건데 달팽이관의 기능과 역할을 알고나면 참으로 신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달팽이관(와우)의 실제 크기(사이즈)는 새끼 손톱모양이라고 합니다. 정말 작죠? 아래 그림은 귀 해부도 입니다. 센터에 갖고 계신분들 많으시죠? 일부러 조금 크게 보이듯 만든것이지 실제로는 매우 작습니다. 검정색 블럭으로 테두리를 해 놓은 것이 바로 달팽이관입니다. 이 달팽이관으로부터 해서 가운데 그림(뇌)으로 연결되어 올라가는 것들이 .. 2014. 1. 9. [웨이브히어링] 이명, 이과적 치료로 해결이 안되면 디바이스를 통해서 최대한 완화해보자. 이명을 평가한 결과를 기반으로 이명에 대한 상담과 교육을 별도 세션으로 할당하는 것은 필수적인 사항입니다. 이는 이명 재활의 한 부분으로 들어갑니다. 이명에 대한 환자 교육과 카운셀링을 하는 행위 자체는 이명이 있는 사람에게 심적 안정감을 줄 뿐 아니라 자신의 이명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보조자 내지는 동반자로써 신뢰를 제공하게 됩니다. 때로는 자신의 이명에 대해 전문가와 이야기하고 경청해서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사진 www.baycare.net 이명 재활에 대한 관리 그리고 계획 전체적인 청력 평가, 이명 검사결과, 청력과 관계된 병력, 이명장애지수(THI) 결과가 이루어지고 나서 얻어진 정보는 한 개인의 이명에 대한 보다 구체화 된 자료가 됩니다. 따라서 이 정보로 전문가는.. 2014. 1. 7. [웨이브히어링] 서울노인복지센터 어른신들께 제공되는 청각서비스 후기 2014년 청마의 해가 시작되는 첫 날 입니다. 새해 많은 분들께 인사를 드리고 또 인사를 받으면서 "건강" 이란 두 글자가 가장 머리속에 떠오릅니다. 늘 건강이 제 1순위 입니다. '올 한해도 건강하게 무탈하게 잘 살아왔구나 그리고 내년에도 건강해지자' 입니다. 오늘은 지난 연말부터 시작한 웨이브히어링가 제공하고 있는 청각서비스 재능기부 이야기로 2014년 첫 블로깅 시작합니다. 올 한해도 복된 나날들 되세요. 사진 nysocialstatus.com 2014년 브라이언송의 블로그 첫번째 포스팅은 지난 연말부터 웨이브히어링에서 진행하고 있는 청각서비스 이야기 입니다. 우선 3주 정도 진행 중인데 느낀 점이 많습니다. 무료 청력검사의 기존 사례를 잠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특정 복지관, 특정 노인대학, 특.. 2014. 1. 2. [웨이브히어링] 주변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다음 10가지 소리 중 안들리는 소리가 있다면? 인간이 죽음에 도달하기 전까지 살아가는데 있어서 자신의 오감(시각, 청각, 미각, 촉각, 후각) 기능이 온전하게 본연의 역할을 다하는 것 만으로도 충분하게 행복함을 느낄수 있다. 좋은 것을 보고, 맛있는 것을 먹고, 작은소리까지도 잘 듣는 다는 것. 이는 어찌보면 누구나가 아주 당연한 것쯤으로 생각하는 것들일수 있다. 내가 만나는 어느 정도 연령이 높은 분들을 보게 되면 시력이 안 좋아서, 청력이 안 좋아서 그리고 치아가 좋지 않아서 생기는 걱정과 근심으로 삶이 조금은 우울해 진다고들 하신다. 이런 의미에서 오늘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10 가지 소리 중에서 청력을 간단하게 체크해 볼 수 있는 소리들을 골라보았다. 사진 www.ehow.com 대부분의 경우에 청력 손실 증상은 매우 천천히 오.. 2013. 12. 24. 복지부, 2013년부터 장애인 등록대상 확대된다는데 청각장애 분야는 큰 변화 없어. 2013년부터 장애인 등록대상이 확대된다는 보건복지부 보도자료를 접했습니다. 청각전문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당연 관심이 가는 부분으로 등록 대상 확대에 있어서 청각 장애와 관련하여 무엇이 얼마나 달라지려나 하고 살펴보았으나, 주목할 만한 내용은 없었습니다. 사진 nimoo.tistory.com 보건복지부 보도 자료 중에서 2011년 12월말 기준으로 장애유형별 등록장애인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작년 연말자료이니 최근자료라 할 수 있겠습니다. 청각장애로 등록한 인구는 26만1천명으로 전체 장애유형구성에서 10.4%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체장애 다음으로 많은 장애유형입니다.(뇌병변과 동일한 비율) ‘11년 장애유형별 등록장애인 현황 (15개 장애유형) (’11. 12월말, 천명) 종별 전체 지체 뇌병변 시각.. 2012. 12. 10. [난청과 치매] 나이 들어 귀가 어두워지면, 치매 위험성도 덩달아 높아진다. 건망증은 자신이 잊어버린 사실을 기억하지만, 치매는 잊어버린 사실조차 모른다는 게 다릅니다. 치매의 위험인자에 난청을 추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치매와 난청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예전 부터 몇 차례 발표가 된 내용이라 새롭게 발표된 내용은 아닙니다. 노년의 인지기능과 치매 예방을 위해서라도 청력에 많은 신경을 쓸 필요가 있습니다. 사진 empowerednews.net 의학전문 기자 이기수님의 "건강쪽지"라는 글에서 청력과 치매의 상관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는 그림이 있어서 관련내용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미국 존스홉킨스 의대 연구진은 청력검사와 인지기능검사를 동시에 실시하며 성인 639명을 12년간 추적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귀가 어두워 잘 듣지 못하는 난청인은 정상인보다 치매 발생률이 평균 1.9∼.. 2012. 9. 14.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