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각전문가21 벽걸이(LCD,PDP) TV 사용은 상담에 있어 강력한 어필이 되는 무기다. 보청기센터 그리고 난청 클리닉에서 청각전문가가 가장 중요하게 공을 들여하는 부분은 개인적인 생각으로 상담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상담에는 고객 또는 환자와의 첫 만남부터 사후관리까지 포함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청력검사 이전 단계부터 보청기 귓본채취, 모델& 가격선정 그리고 보청기 피팅 및 지속적인 조절(Follow Up) 까지 사실 전부가 포함되기에 그 중요성은 매우 높으며, 이에 맞는 상담툴 선정에 심혈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오늘은 여기에 아주 강력한 어필이 되는 벽걸이 TV 활용도를 소개하겠습니다. ☞ 사실 오늘 이 포스팅을 소개하는 이유는 그 동안 제 머리 속에 담겨져 있던 이상적인 상담 환경이 갖추어진 곳을 보고 왔기 때문입니다. 어디라고 밝힐 순 없지만, 그 곳에는 스타키 제품을 거래하.. 2010. 5. 21. 부적합한 보청기를 판매한 대리점은 아무런 문제가 없는가? ☞ 이번 식약청 보도와 관련하여 청각전문가의 존재의 필요성에 대해서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보청기 제조사에서 제품 출고 이후에 고객이나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이전에 다시 한번 성능이나 고객의 청력에 적합한지 필터링 역할을 해주는 전문가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청력검사 없이 개인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보청기를 구입한 다는 것은 소비자 개인의 취사 선택의 문제이기에 전문가 통제 밖의 일이라 생각하겠습니다. 그렇지만 버젓이 청력검사를 하고 귓본도 채취하고 그에 맞는 보청기를 제조사에 주문하고, 제작 되어 고객이 착용하기 까지는 충분한 시간이 있지요. 충분하게 성능을 점검할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Photo By http://www.4science.net/main.asp..._science 아무.. 2010. 5. 21. 미국 청각전문가 Au.D (Doctor of Audiology) 포지셔닝을 축하합니다. ☞ 미국에서 청각전문가로 불리워지고 있는 Au.D (Doctor of Audiology) 과정이 이제 미국 내에서 확실하게 자리매김하는 중간 기점 통과했다고 합니다. 미국과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청각학이라는 학문의 entry level 이 석사과정입니다. 그리고 그 후 학문적 연구를 더하고자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다른 학문처럼 박사과정 (Ph.D)을 하게 되죠. 물론 지금도 마찬가지로 청각학에도 Ph.D 과정이 있기는 합니다. 그런데 저의 기억으로는 2004년 정도? 로 기억되는데 미국에서는 Ph.D 보다 임상경험이 더욱 요구되는 Au.D 과정이 더욱 매리트가 있을 것이고 점차 사람들이 Au.D를 더욱 선호해서 과정을 전환한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위 그래프에서 Au.D 학위를 받은 수의 증가가 .. 2010. 5. 2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