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외이도10 귓바퀴와 외이도의 공명현상을 이용하면 더욱 잘 들을 수 있다!? 과연 우리 신체 중에서 필요없는 기관이 있을까요? 우리 신체의 모든 것은 조물주의 깊은 뜻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귓바퀴는 어떻게 쓸모가 있을까요? ☞ 제가 청각학 개론 슬라이드 강의 자료를 통해서 이개(귓바퀴)와 외이도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아래 그림 보시면 귀에다 손을 갖다 대고 있는 모습보이시죠? 여러분도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정말 그냥 들을 때 보다 더 잘 들립니다. TV를 보면서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냥 우리 귀에 귓바퀴라는 것이 있어서 6dB 정도 더 잘 들리는데, 손으로 갖다 대서 듣는 경우는 그 몇 배로 더 잘들린다고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 공명현상은 물리학적으로 우리 주변에서 많이 찾아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그런데 우리의 귀에서 외이도 즉 귀 밖에서.. 2010. 5. 26. 그림 한장으로 이해할 수 있는 소리를 듣게 되는 전달경로 우리가 공기의 소중함을 모르고 살아가듯, 세상의 모든 소리들을 빠짐없이 들을 수있다는 것에 감사해야 합니다. 우리가 무심코 듣는 세상의 모든 소리들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우리의 뇌까지 도달되어질 때 비로소 "소리"라고 인식을 하게 되죠. 제가 청각학이나 보청기를 교육하기 위해 자료를 만들때 가급적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을 자주 사용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지금 포스팅하는 화면에 보고 계신 그림은 제가 보기에도 가장 이해하기 쉽고 깔끔하게 만들어진 것 같아서 소개해 드립니다. ☞ 청각학과 관련하여 인터넷의 이미지 자료, 논문 그리고 서적을 보면 때론 이해하기 쉽지 않게 설명을 해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가 듣는 세상의 모든 소리는 위 그림 번호 순서대로 진행됩니다. 정상인이 소리를 듣는 과정은 위 번.. 2010. 5. 22. 인공와우(CI)를 통해 전기적인 자극으로 소리를 들을 때 신체의 반응은? 인공와우 이식을 하게 되면 전기적인 자극으로 소리가 전달되어 집니다. 그럼 우리 신체는 전기적인 자극을 어떻게 받아들일까요? ☞ 누구나가 뇌에서 소리를 감지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에너지의 변환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렇게 변환이 되어야만 소리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에 귀에 도달된 소리들이 음향에너지(외이도)- 기계에너지(중이)- 액체에너지(내이)- 전기에너지(와우이후)의 변환과정을 거쳐서 우리의 뇌로 전달되는 것입니다. 어느 세월에 전달되냐구요? 그게 조물주의 놀라우신 능력아닐까요? 광케이블 이상의 속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도 자세히 생각해 보면 정말 놀라울 따름입니다. 음향신호에서 전기 신호의 변환 과정 그런데 인공와우는 에너지의 변환과.. 2010. 5. 21. 이렇게 작은 초소형 고막형 보청기 보셨나요? 스타키, "오토렌즈(OtoLens)" 글로벌 청각전문 기업 미국 Starkey 사가 또 하나의 혁신적인 제품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스타키 사는 신제품 출시 때 마다 업계 최초라는 수식어가 많이 붙여질 만큼 혁신적인 기능들을 선보이는 리딩 컴퍼니입니다. 이번 2010 미국청각학회(AAA, 미국 센디에고.4월 14~17)에서도 선보일 예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시판되는 시점은 조금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번 포스팅의 요지는 청각학의 관점에서 그리고 이론을 실제 임상에 접목시켰을 때, 현재 보청기 테크놀로지 단계가 어디까지 왔는지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직 CONFIDENTIAL한 정보 였는데, 어제 (3/27/토) 스타키코리아 창립 14주년 기념식 에서 미국본사의 Phlip Lyon 부사장님이 참석하신.. 2010. 5. 2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