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청기 제작17 [웨이브히어링 청각센터] 보청기 마이크 위치, 위 또는 아래 어디가 좋을까요? 귀 안에 착용하는 보청기, 귀 구멍이 커봐야 얼마나 크겠습니까? 하물며 마이크 위치가 위에 있던 아래에 있던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그런데 사용자 입장에서 의문이 들으셨나 봅니다. 마이크 위치에 대해서 질문을 주신 분이 계십니다. 결론적으로 마이크 위치는 귀 모양과 외이도 각도를 기준으로 사이즈에 따라서 위에 그리고 아래에 장착됩니다. 저는 데스티니 시리즈를 한 쪽만 착용하고 있습니다. 착용하면서 자꾸 의문이 드는데요. 왜 마이크가 위쪽에 있는지? 제 생각에는 아래 쪽에 있으면 귀의 형태로 볼때 더욱 선명하고 크게 들릴것 같은 생각이 들거든요. 그래서 문의 합니다. 마이크를 아래 쪽에 설치하지 않은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이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람마다 틀릴수 있으니까 한번 쯤 시험해 보고 싶습니다. 질.. 2014. 2. 11. [웨이브히어링] 중이염 수술병력이 있는 고심도 청력손실자 보청기 제작 리뷰 & 나의 생각 바로 지난 포스팅에 소개해 드린 중이염 수술 병력을 갖고 있는 분들의 보청기 귓본 취형과 착용 사이즈의 심리적인 상태에 대해서 잠깐 언급을 했다. 동일한 중이염 수술이라 하더라도 대상자의 청력손실 정도에 따라 술후 보청기 사이즈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오늘 리뷰는 중이염 병력이 있으면서도 청력손실이 매우 심한 고심도 난청자여서 보청기를 통한 증폭 이득이 60dB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게 제작된 케이스다. 예전 같았으면 귀걸이형으로 권고를 내릴 정도로 심한 케이스다. 사진 www.drpaulose.com 보청기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청력손실 정도나 보청기 사용 이득이 보청기 구입에 있어서 가장 최우선 사항이 아니다. 이는 자신의 외모를 거울에 비쳐서 본인이 판달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2013. 11. 28. 보청기 제작 품질 향상을 위한 스타키코리아 "명장(Master)제도" 도입 국내 보청기 최다 생산 기업인 스타키코리아에서는 맞춤형 제작 품질을 더욱 높이고자 마스터제도(Master:명장)를 도입하기로 하였습니다. 보청기 제작 경력 20년 이상인 기술진에게만 부여하는 것으로 보다 나은 품질 향상을 위한 정책입니다. 늘 한자리에 머물지 않고 꾸준히 변화를 주면서 노력하는 모습에 박수를 보냅니다. 사진 houseofcarlyle.blogspot.com 보청기라는 것이 하나부터 열까지 손으로 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동일한 사람의 것이라도 모양이 조금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귀 내부의 모양과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한 사람의 제작 경험과 노하우는 큰 재산이 됩니다. 또한 사람의 귀 모양에 따라서 보다 전문적인 경험과 지식을 요구하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이.. 2011. 12. 7. [보청기 학습자료] 귓본 채취 후, 리텐션 영역 확인해보기 연속적으로 귓본에 대해서 포스트를 올리고 있습니다. 대다수 딜러분들께서 보청기 제작을 위해 보내오는 귓본들을 살펴보면 귓본에 대해서 크게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내가 채취한 고객/환자의 귓본 상태를 꼼꼼히 챙겨보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보실 때 무엇을 생각하고 보는지도 포인트가 있어야 합니다. 귀 내부 모양이 S자형 굴곡으로 되어 있기에, 귀 내부를 채취하고 나면 그대로 모양이 복사되어 나오는 것은 당연하겠죠. 그럼 굴곡이 있기에 귓본 상태를 체크하는데 있어서는 앞과 뒤(anterior-posterior), 위와 아래(superior-inferior) 관점에서 체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귀 내부 모양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고객/환자의 몫이기에 어쩔수 없는 부분이지만 우선적으로 정확하게 .. 2010. 7. 7. [보청기 학습자료] 내 귀에 보청기가 맞지 않는 문제. 그 6가지 원인은? 사람마다 귀 내부 모양이 10인 10색 다르기 때문에 보청기라는 것은 맞춤형으로 제작을 하게 됩니다. 귓본을 토대로 제작에 들어간 보청기를 사용자가 사용하다 보면 초기에 귀에 잘 맞지 않는 경우들이 가끔씩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번 세번 작업을 다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는 사용자의 귀 내부 모양, 귓본 자체 문제 등이 결부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이처럼 보청기가 귀에 맞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 그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보청기 문제점에 대해서 가장 문제가 발생하는 6가지 케이스입니다. 귓본을 토대로 보청기 안착 형태(주황색)를 그림으로 도식화하였습니다. 보청기가 잘 맞지 않는다고 고객/환자가 컴플레인 하는 문제로 삽입시 문제, 리텐션 문제, 편안함 문제, 피드백 문제, 리시버 방향.. 2010. 7. 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