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막형보청기25

오토렌즈, 이제는 사운드렌즈(SoundLens)입니다. 오토렌즈(OtoLens)보다 5dB 이득을 높인 사운드렌즈(SoundLens)가 출시되었습니다. 이로서 초소형 고막형 보청기 착용을 희망했으나 출력/이득이 부족해서 아쉬워하셨던 분들께는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가격은 오토렌즈와 동일합니다. 사운드렌즈는 기존 오토렌즈와 동일하게 16채널 맞춤형 초소형 고막형 보청기입니다. 달라진 점은 110/35(오토렌즈)로 제공되던 메트릭스가 110/40(사운드렌즈)으로 추가 5dB 이득을 더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소비자 가격도 오토렌즈와 동일하며, 보청기 쉘 색상 역시 특이하게 블랙(검정)으로 제작하는 점도 동일합니다. Updated on June 3. 2011 [브라이언송의 관련글] 스타키 초소형 보청기 "오토렌즈"에 대한 모든것 2011. 5. 31.
M군이 말하는 보청기 양이 착용 시, 2% 부족한 4가지 상황 보청기 착용 효과를 가장 쉽게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바로 보청기를 양쪽에 착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전에 양이 착용 효과에 대한 부분이 검토되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양쪽으로 착용만 해서 끝난 것은 결코 아닙니다. 소리의 균형, 즉 발란스를 맞추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며칠 전 좌/우에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는 학생(M군)이 질문을 주셨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이렇게 자신의 청력 상태를 알고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파악하고 있는 사람들을 좋아합니다. 보청기를 양쪽에 착용하는 학생의 입장에서 과연 언제, 어떻게 불편해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소리를 양쪽 귀로 듣게 됩니다. 오른쪽 귀를 통해서 그리고 왼쪽 귀를 통해서 소리에 대한 정보가 청신경을 따라 뇌로 전달 되어지고, 뇌에서 소리에 대한 정.. 2011. 1. 29.
트위터를 통한 포낙(Phonak) 사비아 사용자와의 초소형 보청기 오토렌즈 상담 주로 페이스북을 이용하다 보니 트위터를 소홀히 하게 되었습니다. 며칠 전 트위터에서 Follow 해주신 분이 계셨는데 내용을 어제서야 알게되었습니다. 오토렌즈를 고려하고 계시는 포낙 제품 사용자 분의 이야기 였습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통해 알게되는 보청기 사용자분과의 교감은 언제나 유쾌합니다. 저의 늦은 연락에 대해서 오해 없으시길 바라면서, 약속드린 것처럼 문의하신 내용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트위터를 통해 주고 받은 K님과의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K님이 자신의 상태를 알려주셨고 질문 사항에 대해서는 차례대로 답변을 달아드리겠습니다. K님은 현재 포낙(Phonak)사의 사비아(Savia) 모델을 사용하고 계시는데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사비아(Savia) 모델과 스타키 오토렌즈(OtoLens.. 2010. 11. 9.
초소형보청기 '오토렌즈' 실제 접수된 귓본 케이스 비교 PASS or FAIL 오토렌즈에 대한 관심이 실제 결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 7월 6일(화) 공식 런칭 이후 주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화요일 런칭 이후 워킹데이(수,목,금) 3일 동안 스타키코리아에 오토렌즈 제작으로 오더(Order In;접수되어 제작으로 진행)된 귓본 중에서 적합한 귓본과 그렇지 못한 귓본을 골라보았습니다. ☞ 귓속 모형을 투명 아크릴로 제작하여 만든 상담용 이어블럭입니다. 기존의 고막형(CIC) 보청기(빨간색 보청기)와 오토렌즈(검정색)를 외이도 깊이에 맞게 실제 사이즈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우측의 그림은 오토렌즈만 삽입한 귀 모형입니다. 기존의 고막형(CIC)보다 한 단계 더 안쪽으로 깊게 장착하게 되는 것이 오토렌즈(초소형보청기)의 핵심입니다. 그래야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게 되며 전문적.. 2010. 7. 13.
스타키코리아 "오토렌즈"(초소형보청기) 런칭 세미나 현장 (포토) 초소형보청기 "오토렌즈"의 공식 런칭이 7월 6일(화) 스타키코리아 사옥 대회의실(스타키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주말이 아닌 주중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참석해 주셨습니다. 세미나 당일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 보았습니다. ☞ 소리이비인후과 전영명 원장님의 외이도 성형에 대한 부분과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중이염, 외이염과 같은 증상 그리고 이과적인 수술과 보청기에 대한 원장님의 생각을 전달해 주셨습니다. ☞ 오토렌즈 제품에 대한 개발의도, 제품 개요에 대해서 스타키코리아 임경수 이사님께서 소개해 드렸습니다. ☞ 국내 오토렌즈 1호 착용자로 소리샘 정봉승 대표이사님의 실제 오토렌즈 착용 후 효과 및 느낌에 대해서 설명해 주셨습니다. ☞ 현재 오토렌즈를 착용하고 계시는 실제 센터 대표님들의 체험 사례에 대.. 2010. 7. 10.
[보청기 학습자료] 귓본을 토대로 한 보청기 사이즈별 리텐션 영역이 다르다. 동일한 귓본을 갖고서라도 고객/환자가 원하는 보청기 사이즈에 따라서 귀 내부에서 밀려나오지 않게 지탱해 주는 영역(리텐션 영역)이 달라집니다. 귓본에 대해서 보청기 제작과 관련되어 디테일하게 공부할 수 있는 자료라 생각되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보청기는 디테일이 요구되는 작업입니다. 그림 A, B, C 에서 점점 넓어지는 부분으로 빨간색 라인으로 보여지는 부분이 리텐션(Retention) 영역이 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외이도는 입구에서 부터 안으로 들어갈 수록 점점 넓어지는 부분이 있게 마련입니다. 사람마다 정도 차이는 있겠지만 대부분 안쪽으로 들어갈 수록 입구 쪽보다는 넓게 벌어지는 형상을 갖습니다. 시각적으로 설명을 쉽게 드리자면 그림 A에서 보면 사람이 마치 발을 벌리고 서 있는 모습 보이시죠? 외이.. 2010. 7.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