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청기_피팅노하우133 이런 청력에 고막형 보청기를 하게되면, 당연히 울릴 수 밖에 없는거죠. 제 블로그를 보시고 레인보우님께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올려주셨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실 수 있을꺼라 생각되어 포스팅 합니다. ☞ 질문이요~~ 제가 어느 보청기점 사이트에서 봤는데 환자분의 청력이 R쪽이 250-10dB ,500-35, 1000~4000-50 이구, L쪽이 250-15, 500-30, 1000-45, 2000~4000-55dB 인데요... 청력상으로 보면 귓속형은 울려서 안좋고 테스트나 선택에 여지없이 오픈이어형으로 해야 된다는데 무엇때문에 그러는건가요??? 나는 귓속형도 괜찮을거라 생각했었는데요??? 왜 인지 가르쳐 주세요. ☞ 위와 같은 상황에서 문제의 핵심은 폐쇄효과(occlusion effect)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청력도를 함께 보여드리자면 이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겠.. 2010. 5. 21. 보청기는 소음(Noise)을 어떻게 인식할까요? By JaeYong, BAE 보청기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이 증폭되어 들리는 소음입니다. 말소리만 듣고 싶은데...증폭된 소음으로 인해서 말소리까지 방해를 받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보청기는 무엇을 기준으로 소음을 인식할까요? 바로 앞의 포스팅에서는 보청기가 인식하는 말소리의 기준은 입력되는 소리 파형에 변동이 있는 경우를 어음으로 인식한다 하였습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요.. 어음이 아닌 소리들은..소음이겠죠.. 이를 인식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아래 그림을 보시면 소음의 특성에 대해서 쉽게 이해가 가실겁니다. 소리 파형 자체는 변조가 거의 없이 지속적으로 안정적인(stable) 상태를 보입니다. 보청기는 이를 소음으로 인식하고 어음의 파형과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소음과 어음을 구분할.. 2010. 5. 21. 안경형 보청기, 이론은 그럴듯하지만 현실적인 문제점 안경형 보청기는 새로 개발된 보청기는 아닙니다. 보청기 텍스트북에 오래 전부터 언급되어 온 보청기 형태의 한 종류입니다. 국내에도 소수의 제조사를 통해 국내에 공급되어 왔지만, 이론은 아주 우수하나 현실적인 문제로 사용상의 한계와 문제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안경형 보청기의 물리적 피팅법에 대해 글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경형 보청기의 원리와 역사적 배경을 잠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경형 보청기를 통한 소리 전달 방식은 골(뼈) 전도 방식을 이용한 진동(Vibration)입니다. 진동을 이용한 소리 전달 방식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출발되었습니다.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 귀와 관련되어 어떤 부위를 통해서 소리를 뇌까지 전달할 수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그럼, 뼈를 이용한 골전도 방식이 가능한 .. 2010. 5. 21. S 시리즈 SWEEP 기능 설정하는 방법 ☞ 2010년 2월 1일 자로 스타키 SWEEP(스윕)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귀걸이형 보청기가 출시에 되었습니다. 주된 내용은 볼륨과 메모리 변경에 대해서 보청기 표면을 쓸어내리거나(Sweep) 또는 터치(Touch)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프로그램을 통해서 어떤 방식으로 사용할 지를 결정해야 하는 일이 남아있습니다. 오늘은 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이 물어보시기에 포스팅합니다. ☞ 스윕 기능이 적용되는 S 시리즈 귀걸이형 보청기를 피팅 프로그램인 인스파이어(Inspire)와 연결하면 아래 우측의 화면이 갑자기 튀어나옵니다. 놀라지 마시고 찬찬이 살펴보시면 됩니다. 좌측으로 다시 확대한 4가지 기능중에서 사용자에게 맞는 기능을 선택하십시요. 제 개인적으.. 2010. 5. 21. S 시리즈 보청기 SWEEP 기능 볼륨 증감단계 ☞ Sweep 기능이 적용된 S 시리즈 귀걸이형 보청기 볼륨 설정을 "터치방식"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기존의 볼륨 증감 방식하고는 조금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분들이 혼돈하는 경우가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아래 그림으로 증감의 값을 설명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위 그림에서 가운데가 기본 설정값(디폴트값)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볼륨을 크게 하고자 할 때는 위로 진행하며, 줄이고자 할 때는 아래 표기된 값으로 진행됩니다. 주의점은 항상 기준이 가운데 하늘색으로 표시된 USE GAIN(사용자 이득)이 기본이라는 겁니다. 이 상태에서 작게 또는 크게 하시는 겁니다. ☞ 기준이 USE GAIN(사용자 이득)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보청기 볼륨 설정을 "터치방식"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우습게도? 볼륨.. 2010. 5. 21. 보청기는 말소리(Speech)를 어떻게 인식할까요? By stuckinseoul 보청기가 말소리만 쏙쏙~ 뽑아서 증폭만 해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럼 누구나가 보청기에 만족을 하는 세상이 되겠지요? 보청기가 소음과 말소리를 구분하는 기본적인 알고리즘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보청기 즉, 청각학 관점에서 증폭의 기준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합니다. 보청기 사용자가 듣고자 하는 소리(말소리, 어음, Speech)와 안들렸으면 하는 소리(소음, 노이즈, noise)로 분류합니다. 어느 나라 언어(랭귀지, 말소리,의미가 있는 소리)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이야기 입니다. 말소리(Speech)는 입력되는 신호 자체가 일정하지 않고 상당히 변동이 있으며, 오르락 내리락 불안정한 소리 파형의 특성을 갖습니다(highly fluctuating). 아래 그림을 보시면 쉽게 이해.. 2010. 5. 21.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