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력검사결과8

보청기 피팅 CASE 리뷰: 정말 이럴 땐 어떻게 피팅해야 하나요? 청각학 대학원 커리큘럼 과목 중에 '청각학 세미나' 라는 과목이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이 과목에서나 다루어질 법한 내용으로서 실제 보청기 착용자의 보청기 피팅 사례에 대해서 함께 생각해 보고자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케이스 리뷰를 많이 접하고 과연 내가 어느 부분에서 그리고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곰곰히 생각해보고 따져보는 것을 습관화하면, 문제 해결에 있어서 노하우와 자신감이 생기게 됩니다. 케이스 리뷰는 아주 중요하고 효과적인 학습 방법입니다. 메일을 통해 어느 센터 대표님께서 질문 주신 내용입니다. 제 블로그 공간에서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좋은 사례를 주셔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재미있는 공부방법을 샘플로 제시해 드리니 찬찬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환자의 히스토리와 보청기 센터.. 2010. 10. 3.
나의 청력손실 모양은? Vol.1 정상청력(Normal Hearing) 어떠한 상태를 측정한 후에는 결과값이 나오기 마련이죠. 신체의 기능을 측정할 때 항상 기준이라는 것이 있죠. 자신의 검사 결과가 이 정상범위에서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주죠. 청력 역시 기준이나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범위가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아주 퍼펙트(Perfect)한 값은 청력검사를 수행하는 전제 주파수(250 ~ 8,000Hz)에서 0 dB HL에서 역치값을 갖는 경우를 말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귀가 좋을 필요는 없구요, 이렇게 완벽한 청력을 가졌다하더라도 소머즈되는 것도 아니구요.ㅋㅋ 어디까지나 이론상 완벽한 청력을 설명해 드린겁니다. 그렇다면 청각학 측면에서 건청인, 정상 청력의 범위는 청력을 측정하는 전체 주파수(250 ~ 8,000Hz)에서 -10 dB HL~ 25 dB HL .. 2010. 6.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