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귓본9 [웨이브히어링] 귓본(이어몰드)의 해부학적 명칭 알아보기 보청기를 맞춤에 있어서 첫 단추가 사용자(환자/고객)의 귓 내부 모형(귓본)을 정확하게 채취하는 것입니다. 모든 보청기 제조사는 각 센터 또는 난청 클리닉으로부터 전달 받은 귓본을 토대로 제작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귓본(이어몰드)의 해부학적인 명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청기를 처방하고 보청기를 제작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귓본입니다. 이 귓본 채취 과정을 별거 아닌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보청기 맞춤에 있어서 귓본을 깊숙히 그리고 정확하게 채취하는 것은 보청기를 구입해서 사용하는 분들의 만족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입니다. 이는 보청기 피팅의 첫단추 입니다. 왜 맞춤형 보청기(Custom Hearing aid)라고 할까요? 사람마다 동일.. 2010. 7. 3. 초소형 보청기(오토렌즈), 귓본 제작을 위한 도구(임프레션 키트) 초소형 보청기 제작을 위한 임프레션 키트(Impression Kit)가 스타키 미국 본사로부터 입고되었습니다. 임프레션 키트는 쉽게 말해서 귓본을 채취하기 위한 도구박스를 말합니다. 하나씩 그림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현재 저희는 7월 공식 런칭을 앞두고 바쁘게 준비중에 있습니다.^^ ☞ 위 박스를 개봉하면 실리콘 카트리지(실리콘액 2종이 한 세트), 이어건(기존의 주사위 대체), 믹싱기(기존의 주사위 앞부분에 해당되는 부분), 측정 게이지, 새롭게 제작된 솜(코픈댐), 오토이지(미네랄 오일), 이어라이트(LED 조명)가 들어 있습니다. ☞ 지금부터 하나씩 하나씩 그림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이어건과 실리콘 카드리지를 결합한 모습입니다. 기존에는 손으로 반죽을 했지만 오토렌즈 전용 임프레션 실리콘 액.. 2010. 6. 24. 초소형 고막형보청기 제작을 위한 적절한 귓본 판정 과정(동영상) 보청기를 아주 작게 만들려면 만드는 사람의 제작 기술만 좋아서 될까요? 이 보다는 사용자의 귓본에 달려있습니다. 공간이 충분함에도 귓본 채취가 온전하지 못했을 때는 제작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제조사에서는 초소형 고막형 보청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그 기준이 있습니다. 오늘은 동영상으로 소개를 합니다. 초소형 보청기(오토렌즈)를 제작함에 있어서 가장 첫 번째 만족요소는 쉽게 말해서 보청기를 맞추려는 분의 귓구멍이 커야 합니다. 이 사람의 귓구멍이 큰지 작은지는 귓본을 채취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사람의 귀는 모두가 S자 형태의 굴곡이 있으며, 길이(귓 구멍부터 고막까지의 거리)또한 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해진 공간에 보청기 내부 부품(보청기 레시버)을 넣으려고 하니 이를 수용하는 공간이 확보되지 .. 2010. 5. 2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