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브라이언송의 Ear & Hearing2175

제주도, 전남도에서 장애아동 재활치료 사업이 확대된다고 합니다. 오늘 이메일로 받아본 업계 신문 소식에 장애아동재활치료 지원,추가 지원, 장애수당 지원 등 온통 돈 받아 가세요^^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갑자기 웬일? 이라는 생각이 절로 들더군요. 선거 전 선심성 여론 만들기 인가요? 아니리라 믿고 싶습니다.^^ 그죠?? ☞ 이유야 어찌되었 건 장애 아동을 키우고 있는 부모님들 마음 한켠에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오늘 신문에 나왔던 내용들을 잠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요즘은 날씨도 풀리고 해서 맘이 한편으로는 가벼워지는 느낌이 듭니다. 내용도 맘에 듭니다.^^ 그런데 이런 정책이나 제도가 있음에도 잘 알려지지가 않아서 정말 도움이 필요한 분들은 그 내용을 몰라서 자신이 해당이 되는지를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헤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2010. 5. 19.
숫자로 보는 한국.중국.일본의 장애인구 수 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한국장애인개발원과 조선일보가 주관한 '장애인의 날 30주년 기념, 한.중.일 국제포럼'이 지난 21일 백범기념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비록 참석은 못했지만 동아시아 3국의 장애인에 대한 내용을 매스컴을 통해 접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일하고 있는 분야에도 청각장애인과 연관이 있기에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기사 였습니다. 그림_ treehugger.com 장애인의 날이라고 해서 매스컴에서 중복되서 보도하는 내용들에 식상함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저는 아시아 3국의 장애인의 수에 대해서 관심이 있었습니다. 용케도 그런 쪽 내용을 언급한 매스컴 자료가 있어서 발췌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통계라는 것이 참 대단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전체 인구 중에서 장애인 인구가 차지 하는 비율.. 2010. 5. 19.
대한민국 반세기(1960~2010) 장애인 복지사업 연혁 ☞ 1960년대 부터 2010년까지 반 세기 동안 장애인 복지를 위해 어떠한 사업들이 진행되어 왔는지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특히 청각 장애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빨간색으로 표시를 해 보았습니다. 아마도 제가 그동안 블로깅한 글들 중에서 가장 길이가 깁니다. 50년의 역사인데 당연한 것이겠죠? 1960 년대 -1963.11: 산재보험법 제정 1970 년대 -1976: 제31차 UN총회에서 1981년을 “세계장애인의 해”로 선정 -1977. 12. 31: 특수교육진흥법 제정 1980 년대 -1981: UN이 정한 세계장애인의 해 (※제1회 재활증진대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기능경기대회 개최) -1981. 6. 5: 심신장애자복지법 제정 -1981. 11. 2: 재활과 신설(대통령.. 2010. 5.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