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브라이언송의 Ear & Hearing2201 [웨이브히어링] 보청기 피팅 가이드:(1) "내가 하는 말이 울려요" 에 대한 해결방법 보청기를 구입하는 것 자체로 끝나는 문제가 아닙니다. 사용자 자신한테 내것으로 적응되기 까지는 일정 시간 보청기를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교정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것이 디지털 보청기 사용 시작의 올바른 지침입니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지난 시간 약속드린 것처럼 보청기 소리조절(피팅)에 대한 맥을 짚는 가이드 첫 번째 시간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내말이 울려요" 부분에 대한 피팅 해결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보청기 사용자의 원하는 바를 정확하게 파악하라. 보청기 사용자자가 초기 보청기 사용 후 "내가 말할 때 울려요" 라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단순히 컴퓨터 피팅 프로그램 상에서 버튼 하나를 눌러서 해결할 수 도 있지만, 보청기를 다시 제작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 2014. 1. 12. [웨이브히어링] 클래이사격으로 인한 소음성 난청 사례, 사운드렌즈 착용으로 카버 며칠 전 한 50대 후반의 재미교포 한 분을 알게 되었습니다. 보청기를 양쪽에 착용하고 계셨고(미국에서 구입한 개방형 타입) 제 직업이 그렇다보니 저에게 오픈하여 자신의 애로점을 편하게 말씀을 하시더군요. 사용상 큰 불편함은 없지만 사업상, 대인관계 상 보청기를 낀 모습이 남들에게 보여지는 부분에 대해서 많이 신경이 쓰인다 하셨습니다. 좋은 방법이 없겠냐는 질문에 사운드렌즈를 시도하여 보았습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습니다. 사진 theindependent.com 저는 처음에 이분이 보청기를 하셨다기에 나이도 있고 하셔서 조금은 오래동안 보청기를 착용하신 줄 알았습니다. 문제는 다름아닌 클래이 사격이었답니다. 우리나라도 여가 스포츠로서 클래이 사격을 즐기시는 분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만, 미국의 경우는.. 2014. 1. 11. [웨이브히어링] 보청기 피팅 가이드(2)"말소리가 또박또박 안들려요"에 대한 해결방법 보청기 사용자 분들 중에서 겪고 계시는 가장 큰 어려움 중에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실제 제가 임상에서도 보청기 효과에 대해 언급할 때 가장 많이 듣게 되는 고객/환자의 불만 사항입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꼭 드리고 싶었던 말입니다. 보청기 사용 고객/환자가 말하는 문제의 본질 파악하기 보청기 착용 대상자로부터 "소리가 들리긴 들리지만 말소리가 명료하지 않다" 라는 호소를 듣게 되면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보청기 사용 고객/환자의 어음명료도 검사 결과를 체크해 볼 것. 둘째, 어음명료도 검사 결과가 나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호소를 한다면 보청기에 피팅되어 있는 값을 체크해 볼 것. 이렇게 두 가지로 방향을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겠습.. 2014. 1. 10. [웨이브히어링] 달팽이관(와우)의 오묘한 기능에 대해서 아시나요? 우리가 소리를 듣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감각기관이 바로 귓속 깊숙히 자리 잡고 있는 달팽이관입니다. 마치 달팽이 모양을 닮아서 그렇게 불리고 있습니다. 와우(cochela)라고도 하는데, 누구나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전부 두 개의 달팽이관을 갖고 있습니다. 조물주가 정말 기가 막히게 만들어 주신 건데 달팽이관의 기능과 역할을 알고나면 참으로 신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달팽이관(와우)의 실제 크기(사이즈)는 새끼 손톱모양이라고 합니다. 정말 작죠? 아래 그림은 귀 해부도 입니다. 센터에 갖고 계신분들 많으시죠? 일부러 조금 크게 보이듯 만든것이지 실제로는 매우 작습니다. 검정색 블럭으로 테두리를 해 놓은 것이 바로 달팽이관입니다. 이 달팽이관으로부터 해서 가운데 그림(뇌)으로 연결되어 올라가는 것들이 .. 2014. 1. 9. [웨이브히어링] 우리가 소리를 인지하는 두 가지 원리-시간차(IID),강도차(ITD) 보청기 상담을 하다 보면 자주 물어오시는 공통적인 질문이 있습니다. 한쪽으로 보청기를 착용하신 분들께서 반대편에 추가로 더 착용하게 될 경우 뭐가 얼마나 달라집니까? 하십니다. 그래서 이참에 우리가 소리를 감지하고 반응하는 그 원리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우리의 귀가 양쪽에 두개가 있는 이유를 소리 과학 측면에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잘 읽어보시면 자연스럽게 양쪽으로 보청기를 착용해야 되는 이유를 알게됩니다. 사진 mpg.de ☞ 머리(두상)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에 소리를 받아들이는 가청 기관인 귀가 있다. 귀는 감각기관일 뿐 모든 소리에 대한 인지나 지각은 머리(뇌)에서 관장하게 된다. 모든 사람이 귀를 탓하는데 귀가 아니라 뇌가 정답이다. 따라서 소리라는 것은 그 발생지인 음원에 대해 우리.. 2014. 1. 8. [웨이브히어링] 신호대 잡음비(SNR), 말소리와 소음의 상대적인 크기를 말합니다. 보청기를 착용하시고 불편한 점이 뭐가 있으세요? 라고 물어보면 다음과 같이 이구동성으로 말합니다. "둘이 이야기하는 것은 잘 들리는데, 여럿이 얘기할 때는 잘 안들려(못알아 먹겠어!)" 라구요. 이게 무슨 차이 때문에 그럴까요? 여기에 숨겨진 비밀이 있습니다. 바로 신호대 잡음비라는 청취 상황 때문에 그렇습니다. 신호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SNR)는 내가 듣고자 하는 신호(통상 어음, 말소리를 의미함)의 크기와 주변 소음의 크기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을 말합니다. 저의 블로그에서 이미 용어알기 코너에서 신호대 잡음비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 쉽게 말하면 말소리가 큰지, 소음이 큰지 아니면 말소리 크기와 소음의 크기가 같은지에 대해서 양수값, 0(제로), 음수값으.. 2014. 1. 8. 이전 1 ··· 247 248 249 250 251 252 253 ··· 36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