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MP 방식에 이어서 두번째 BP 방식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앞으로 CG방식 만 남았습니다. 전부해서 3가지인데 공부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와우를 공부하시는 분들은 꼭 이해만 하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공부나 학습은 반복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다음에 잠깐 훑어보시더라도 금방 기억이 나실 겁니다.
양극 자극(Bipolar: BP stimulation)
아래 그림을 보면 활성전극(Active electrode)과 기준전극(Indifferent electrode)이 모두 와우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류의 흐름은 두 개의 활성전극에서 이루어 집니다. 자극형태에 따라 자극거리를 가깝게 하거나 멀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활성과 기준전극 사이의 나선신경절세포(spiral ganglion cell)가 자극을 받게 됩니다.
1. 자극의 거리가 짧을수록: T와 C level에 도달하기 위해 더 많은 자극전류가 필요하며, 밧데리의 사용 용량이 증가하므로 T와 C level이 너무 높거나 정할 수 없으면, 자극거리가 넓은 BP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자극거리가 넓을수록: 많은 양의 청신경을 자극하여 자극 전류를 낮출 수 있지만, channel 수가 적어지고 단조로운 spectral(주파수) 자극이 될 수 있습니다.그러므로 자장 적절한 BP자극 법은 가장 짧은 자극거리에서 충분한 청자극(auditory sensation)을 주는 것이다. 또한 보통 BP+1이 사용되지만 더 큰 자극이 필요하면 BP+2, 3을 사용 합니다.
< BP mode 의 경우 활용 가능한 채널 수>
|
활성전극(Active E) |
기준전극(Indifferent E) |
채널 수 |
BP |
#13 |
#14 |
21 |
BP+1 |
#13 |
#15 |
20 |
BP+2 |
#13 |
#16 |
19 |
'인공와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I촬영, 인공와우 이식환자는 꼭 주의하세요! (0) | 2010.05.21 |
---|---|
와우 전극이 이식된 달팽이관(와우)을 X Ray로 촬영한 모습 (0) | 2010.05.21 |
나선신경절세포(Spiral ganglion cell)는 달팽이관(와우)의 어디에 있을까? (0) | 2010.05.21 |
인공와우 임플란트 디자인 설계 시 최우선은? 가운데로 최대한 가깝게 (0) | 2010.05.21 |
인공와우(CI) 자극방식 이해하기(3): CG방식(Common Ground) (0) | 2010.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