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히어링] 와이덱스(Widex),주파수 이동 방식: Linear Frequency Transposition
주파수를 이동시키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야기만 언급하고자, 제품의 성능, 음질, 기능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제품을 취급하는 곳이라면 제품 모델이나 명칭 만이라도 해당 제품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은 갖고서 상담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Linear frequency Transposition (LFT) 제조사: Widex
기술명칭
적용모델:Mind 440 (프리미엄형, 중급형/15채널), Mind220 (프리미엄형, 중급형/5채널), Inteo (고급형, 중급형/15채널), Clear200 (C4-X) (중급형/15채널), Clear200 (C2-X) (중급형/5채널)
Linear frequency Transposition
기본 개념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한다" 입니다. 이동된 고주파수 대역의 소리정보와 기존의 낮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겹쳐지는(overlapped) 현상이 발생하는 방식입니다. 주파수 이동이 시작되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위 2개 옥타브 주파수 대역까지 이동가능 하며, 주파수 이동이 시작된 특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바로 아래 1 옥타브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함.
주파수 이동에 대한 개념을 그림으로 쉽게 설명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주파수 대역과 아래 주파수 대역의 겹쳐지는 부분(overlap)으로 말미암아 이동된 고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저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차폐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저주파수 대역의 차폐 현상을 최소화 시키고자 Linear frequency Transposition 기술을 적용시켰으며, 이는 강한 고주파수 대역의 입력 음이 감지될 때만 주파수를 이동시키도록 설계한 기술입니다. 알고리즘 설계 시 보청기에 입력되는 소리를 기준으로 하며, 일단 주파수 이동에 관한 감지 레벨이 되면 순간적으로 주파수 전이가 진행되며 이 때의 주파수 대역 폭은 무조건 감소하도록 설계 되어 있습니다.
위 그림은 단어의 중간과 말미에 ‘SH’, /∫/ 가 들어가는 단어를 분석한 스펙트로그램입니다. 패널 A는 Linear frequency Transposition가 적용하지 않은 상태를 분석한 것이며, 패널 B는 Linear frequency Transposition을 적용하여 분석한 것입니다. 그림에서 하얀색 박스로 표시한 부분은 고주파수 대역을 아래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켰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를 비교한 부분입니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기 때문에 패널 B를 보면 고주파수 대역이 아래 주파수로 이동했기 때문에 전체적인 주파수 범위가 줄어든 모습이며, 흰색 박스 안의 붉은색 말소리 부분이 더욱 진하게 나타나 보이는 것이다. 줄어든 주파수 대역은 스펙트로그램을 통해 알 수 있으며 4,000Hz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 이후에서는 에너지가 급격하게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와이덱스 (Widex) 보청기 제품 문의
웨이브히어링 청각센터
보청기 ㅣ 브라이언송 ㅣ 02) 736-9966
Spectral_iQ_Technical_Paper.pdf